2024.06.01 (토)

서울잡가의 원류를 찾아서 5. 24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악뉴스

서울잡가의 원류를 찾아서 5. 24

  • 김지연
  • 등록 2009.05.17 16:26
  • 조회수 1,799
● 일 시 : 2009. 5. 24 오후 3시 ● 장 소 : 남산국악당 ● 티켓정보 : 전석 1만원 ● 주 최 : (사)서울소리보존회 ● 문 의 : 02)353-5525, 878-9483 ● 기획의도 서울을 대표하는 전통성악곡 가운데 일제강점기 및 구한말 주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주요 잡가와 민요곡들을 감상하고 또 복원하는 공연. 1부에서는 서울의 대표 잡가인 12잡가 중 집장가와 소춘향가, 선유가, 달거리 그리고 일제강점기에 널리 불린 언문풀이와 일제강점기에 탄생한 금강산타령을 남혜숙, 유명순 명창과 그의 제자들이 고전적인 느낌으로 연출해 부르며 특히 일제강점기에 태어난 한오백년, 대구아리랑, 제주아리시리, 포곡새 등의 민요를 대중에게 선보인다. 2부에서는 원래는 평양이 중심이되는 관서지방의 잡가이지만 일제강점기를 즈음해 서울에서 대유행을 하면서 서울소리꾼들에 의해 불리고 전승된 경제 서도잡가가 선보이는데 초한가, 영변가 등 서도 본토박이 소리를 경제로 부르며 서울에서 태어난 서도잡가인 혈죽가, 관동팔경 그리고 서도의 제와 모습을 달리한 제전 및 고제가사를 간직한 배따라기를 노영숙, 조유순이 중심이 된 경제서도잡가보존회 회원들이 부르게 된다. ● 주 최 :서울소리보존회 주관 경제서도잡가보존회 후원 서울문화재단 은평구 ● 순서 <1부> 서울잡가의 멋 집장가 : 서울소리보존회 전원 소춘향가 : 서명순/김경자/박은숙/허정숙/김지연 가세타령(선유가) : 유명순/심정옥/박나령/최영분/최유리 달거리-적수단신-매화타령(달거리) : 남혜숙/유근순/서명순/박은숙/조복희/정현숙/홍순옥/김화섭 금강산타령 : 최영분/박나령/심정옥/최유리/이봉순/고기옥 언문풀이 : 남혜숙/서명순/유근순/김화섭/정현숙/조복희/김지연/홍순옥/김영애 한오백년-대구아리랑-제주아리시리-오동나무-포곡새 : 전원 <2부> 경제 서도잡가의 원류 살푸리 : 춤 최정희 제전 : 노영숙/조유순 초한가 : 노영숙/조유순/전지연/최정희/이유정/조정옥/라은주/윤영아/주현정/김순녀/박미선 혈죽가 : 남혜숙/유명순/박나령 영변가 : 조유순/전지연/라은주/최영분/박은숙/박미선 관동팔경 : 노영숙/최정희/윤영아/이유정/조정옥/주현정/김순녀 배따라기-자진배따라기 : 조유순/전지연/라은주/최정희/윤영아/이유정/조정옥/박미선/주현정/김순녀 뱃노래-자진뱃노래 : 전원 ● 주요출연진 남혜숙, 유명순, 서명순(08년 복사골국악대전 1위), 유근순(불광동 주민자치센터 강사. 06년 여성국악공쿠르 수상), 박은숙(08년 아리랑경창대회 3위), 박나령(08년 동두천민요경창대회 3위), 조유순(경제서도잡가 보존회 회장. 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이수자), 노영숙(경제서도잡가 보존회 부회장. 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이수자), 전지연(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이수자), 라은주(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이수자) 등 30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