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30 (화)

[금요연재] 도자의 여로(139)분청귀얄잔편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요연재] 도자의 여로(139)
분청귀얄잔편

  • 특집부
  • 등록 2024.04.05 07:30
  • 조회수 10,540

정겨운 대화라도 나누어 보고만 싶어지는


    이규진(편고재 주인)


도자기 용어 중 킨츠기란 것이 있다. 일본말이다. 금이 가거나 깨지거나 파손된 부분을 옻으로 붙이고 수리된 곳을 금색 은색 붉은색 등으로 장식하는 수리 기법을 말한다. 요비츠기란 말도 있다. 이 것은 깨지거나 훼손된 부분을 아예 다른 도자기 파편을 붙여 수리하는 방법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도 남쪽 일부에서 킨츠기란 용어를 쓰고 있고 실물도 더러 볼 수 있다. 훼손된 부분을 같은 종류의 도편을 이용해 접합해 수리한 것들인데, 진해 두동리 다완이나 분청덤벙에서 그런 예를 더러 볼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엄밀히 말하면 킨츠기보다는 요비츠기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 요비츠기의 경우 백자에 청자를 대입시킨다던가 해서 전혀 색다른 이질감 속의 새로운 맛을 느끼게 하는 방법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여기 까지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여하튼 킨츠기건 요비츠기건 손상된 기물을 천대시 하지 않고 새로운 미감을 찾아내려는 노력이야말로 나름의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근래 구입한 분청귀얄잔편은 킨츠기일까 요비츠기일까. 같은 종류의 분청으로 수리를 했으니 킨츠기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다른 기물을 붙인 것이니 요비츠기라고 해도 무리는 없을 듯 싶다. 분청귀얄잔편은 고흥 운대리 산이다. 굽은 5Cm고 입지름은 넓은 쪽이 13.5에 좁은 쪽이 11Cm로 깔때기 같은 일그러진 모습이다. 굽은 내화토빚음받침에 주변은 암갈색이다. 분은 일차적으로 엷게 칠한 후 그 위 입술 부위에 다시 두터운 귀얄을 한 듯 백토가 흘러내린 부분도 보인다. 안쪽도 같은 구조다. 암갈색의 내저에는 내화토빚음받침의 흔적이 보이며 귀얄을 엷게 칠한 부분과 짙게 칠한 부분이 겹쳐 보인다. 손상을 입은 입술 부위는 다른 분청편을 붙여 옻으로 수리를 해놓고 있다.


139 분청귀얄잔편.jpg
분청귀얄잔편(편고재 소장) 입지름x굽지름x높이 13.5(11)x5x5Cm

 

분청귀얄잔편은 앞서도 이야기 한 바와 같이 일그러진 모습이다. 따라서 흡사 음료를 따르기 위해 일부러 한 쪽을 찌그러지게 만든 것 같은 느낌도 든다. 하지만 암갈색의 바탕과 귀얄이 엷은 곳과 짙은 부분이 어울려 경색이 뛰어나다. 따라서 향기로운 차라도 한 잔 이곳에다 마시다 보면 그야말로 맛과 멋과 향기가 어우러진 환상적인 찻자리가 될 것 같은 느낌도 든다. 누구인지는 몰라도 불량품에 불과한 손상 입은 기명에 다른 기물을 붙여 정성스럽게 수리를 한 것도 그런 찻잔으로서의 역할과 쓰임을 염두에 두고 배려를 한 것이 아닐까 생각되기도 한다.

 

청자든 분청이든 백자든 완전한 것은 그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 오랜 세월의 무게를 견딘다는 것이 어찌 쉬운 일이겠는가. 그 것은 그 것대로 존중해주어야 하는 것은 마땅한 일이다. 그러나 반대로 생각해 보면 많은 세월에 걸쳐 부대끼다 보면 다소 손상을 입을 수밖에 없는 것 또한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따라서 우리는 이런 것들조차도 보듬어 안고 아껴 주어야 할 의무가 있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하지만 현실은 어떤가. 조금만 손상이 있어도 기피 현상이 너무도 심한 것이 오늘의 추세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우리도 이제 킨츠기나 요지츠기에 대한 관심을 가져 보아야 할 때가 된 것은 아닐까. 그런 의미에서 분청귀얄잔편을 다시 한 번 선입감 없이 바라보자. 무심하게 바라보고 있노라면 분청귀얄잔편은 너무도 경색이 아름답지 않은가. 이 잔에 향내 나는 차라도 한 잔 따라 마시며 그 누군가와 정겨운 대화라도 나누어 보고만 싶어지는 그런 아쉽고 그리운 시간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