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4 (토)

[화요연재]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76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요연재]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76

‘국악의 날’ 지정을 위한 제언(3)

  • 특집부
  • 등록 2024.02.27 07:30
  • 조회수 11,365

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한류문화 컬럼니스트)

 

지난 회에 삼국사기악지를 통해서 삼국시대부터 김부식(1075 ~ 1151)이 살아온 고려중기 시대까지 전해진 악곡은 거문고 가야금 향비파로 연주한 삼현(三絃)의 곡이 584, 대금 중금 소금에 의한 삼죽(三竹) 곡이 867곡 등 엄청난 양의 곡이 존재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향가가 단순히 성악 위주의 대중적 민요 수준을 넘어 상당히 세련된 다양한 가악(歌樂)으로서의 고급음악도 포함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삼국시대의 음악 문화적 배경과 그 안에서 만들어진 각종 악곡들의 음악적 특징은 어땠을까? (신라향가와 메나리 토리(調) 어사용 토리 비교 연구-박상진 논문 참조)

 

_20240213_023910452.jpg
박상진(동국대학교 명예교수)

 

 

경상도는 옛 신라 시대의 중심지역으로서 이 지역의 음악적 특징을 흔히 메나리 토리어사용 토리로 구별한다. 그 중에서 토속민요인 어사용 토리는 영남의 대표적인 소리로서 다른 지역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소리일 뿐만 아니라, 그 유래 또한 오래되었다. ‘메나리 토리역시 우리나라 각 지역에 깊숙이 전파되어 있다.

 

참고로, ‘어사용이라는 용어는 어산영(魚山永)’의 한자명이 지역민들에 의해 와전된 것으로 보이며, ‘어산범패의 다른 이름이다.

 

어쨌든, 경상도 지역의 어사용 토리메나리 토리의 음악언어는 우리나라의 각 지방에 분포되어 있는 현재의 민요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경상도 지역의 음악적 특징 중 하나인 토속민요의 어사용 토리경상도적인 정취를 강하게 풍겨줄 뿐 아니라, 영남의 대표적인 소리이다. 그리고. 그 유래가 매우 오래된 것으로서 영천, 경주, 대구, 밀양 등지에서 핵심적으로 지금까지 전승되고 있으며, 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강원도까지 깊숙이 전파되었다. 현재의 메나리 토리와도 흡사한 어사용 토리의 특징을 모아보았다.(영천, 경주, 대구, 밀양 등지의 어사용’ 5곡을 분석)

 

어사용 토리의 특징은, 음계는 fa-sol-la-do’-re’mi-sol-la-do’-re’-mi’, 그리고 mi-sol-la-do’-re’-fa’3종류로 되어 있다. 어사용 토리메나리 토리등 두 가지의 토리가 공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입타령이 가사에 다수 나타나는데, 주로 본 절의 끝부분에 나타나고, 종지형을 취하며 소엽(입타령)끼리 같은 선율형을 이루는 점은 고려가요와 유사하다. 곡의 중간이나 끝부분에 마치 새 쫓는 소리와 같이 외치거나 의미 없는 말로 노래 부르는 구호 같은 것이 나타난다. 5곡 모두 하행종지 한다. 각 절마다 선율이 똑같이 일치하지 않지만 유절형식(1절과 2절을 같은 선율로 부르는 형식)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어서 메나리 토리의 음악적 특징은 민요에만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판소리, 민요, 무가, 범패에 이르기까지 소위 민속악이라 불리는 모든 장르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판소리에서의 메나리 토리는 강산제 심청가의 몇 대목을 들 수 있다. 강산제 보유자 정권진에 의해 불려진 심청가 중에서 심봉사가 황성 맹인 잔치에 가는 대목의 길소리와 심청모친 출상하는 대목의 상여소리등에서 볼 수 있다.

 

민요는 전라도의 육자백이 토리(調), 경기도의 창부타령 토리(調), 서도의 수심가 토리(調)를 제외하면 대부분 메나리 토리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메나리 토리는 주로 강원도, 함경도, 경상도 등 동부지방 민요들의 특징으로 나타난다. ‘메나리는 경상도 지역의 노동요 등 토속민요에도 자주 등장한다. 충청도 중부, 경기도 동부, 전라도 동북부 지역의 민요에서도 메나리 토리가 많이 등장하며, 황해도 지역에서는 뱃노래 같은 노래에서도 메나리 토리가 드러나고 있어 그 분포가 광범위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범패는, 삼국유사5, 월명사(月明師) 에 의하면, 월명사가 향가 도솔가(兜率歌)를 작곡한 760년 이전에 이미 신라에서는 범패가 불려졌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그 음악은 신라 땅에서 불려진 신라풍(新羅風) 향풍(鄕風)’이다. 그것은 홋소리로서 지금도 절에 가면 일반적으로 들을 수 있는 반야심경같은 간단한 염불소리이다. 그 후 진감선사에 의해 당나라의 범패가 830년에 옥천사, 지금의 쌍계사에 전해져서 당풍(唐風)’의 범패가 전수됨으로써 신라의 범패는 더욱 다양하게 발전되었다. 그러면서 신라 향가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이 유래된 향가의 음악적 형태는 토속민요인 어사용 토리가 생성되고, 나아가서 메나리 토리로의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위와 같은 음악문화적 배경은 향가음악의 악곡 형성에 기여했을 것이며, 그 향가 음악은 고려가요로 이어졌을 것으로 유추(類推)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