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특별기고] '숯뱅이 두레'와 한국민속예술 축제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별기고] '숯뱅이 두레'와 한국민속예술 축제

이소라(농요연구가. 공주대 지역계발연구소 연구교수)

  • 편집부
  • 등록 2024.02.19 11:11
  • 조회수 16,510
image01.jpg
이소라(농요연구가. 공주대 지역계발연구소 연구교수)

 

20239월에 영광군에서 개최된 제64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 대전 서구의 숯뱅이두레1등상인 금상을 받았다는 소식을 최근에야 접했다

 

대전 서구에 관련된 '농요'이라면, 2000년도에 필자가 서구문화원과 함께 펴낸 민초의 소리, 대전광역시 논매기소리를 총괄한 충남지방 논매기소리 총서(하권)2015년 발간하였기로 숯뱅이두레가 어느 지역을 일컫는지 궁금하였다

 

숯뱅이 지역은 대전 서구의 탄방동과 용문동 지역을 일컫는다. 대전 서구 지역의 마지막 생존자인 김용근(90)의 고증과 시연으로 농신제로부터 '아시-이듬-만물매기'로 작품을 엮었다.

 

김용근 님에 대하여는 나는 이전부터 안면이 있고, 대전 서구문화원의 다른 출품작에 대하여도 관여하였음을 알고 있었다

 

2016년에 논산문화원과 함께 논산의 민요를 발간했을 때도 논산의 백중놀이보유자이신 그를 취재하였다. 김용근 님은 1928년생이시며 대전이 아닌, 강경읍 출신이시다. 숯뱅이 두레 수상과 관련하여 몇 편의 영상물이 공개되어 있으면서, ‘백중놀이의 농신제에서 아이디어를 가져왔을 농신제로 시작하였고, '아시-이듬-만물매기'의 논매기소리에 대하여는 전혀 한마디 언급이 없는 것은 그 이전의 서구 지역 출품 내용 등을 고증자료로 내세울 수는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단 염려되는 것은 그간에 한국민속축제(전국민속경연대회 후신)에서 국무총리상이나 대통령상을 받게 되면, 지정문화재와 같은 국내의 등재로 이어져 왔다는 점이다. 한번, 시도지정 문화재(2024년부터는 문화유산)가 되면, 출품 당시의 내용이 표본이 되어, 민속축제에서 큰 상을 받았던 그대로를 지켜나가야 하는 것으로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예를 들면, 충북 무형문화재 제11호인 진천 용몽리 농요2000년도에 제41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 우수상을 받았고, 2003년도 이래 충북 제11호로 보호 받고 있다.

 

필자는 충북지방 논매기소리 총서2017년에 첨부 USB 음원과 함께 펴냈고, ‘진천 용몽리 농요의 개선점에 대하여’(2019)도 관련 학회에서 발표도 하고, 보존회로 책과 음원을 보내면서 일 년에 1회 의무적으로 발표하는 정기 공연이 아닌, 일반 공연 때에는 이를 반영하여 더 풍성한 공연이 될 수 있기를 권해도 보았지만, 제도상 막혀 있어 요원한 얘기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