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특별기고] 세계평화 꿈꾼 안중근 의사 2월 14일 사형선고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별기고] 세계평화 꿈꾼 안중근 의사 2월 14일 사형선고

'위국헌신 군인본분' 대한의군 참모중장, 민족의 적 이토 척살

  • 특집부
  • 등록 2024.02.14 06:00
  • 조회수 19,306

  이강연/前 안중근의사기념관 사무처장

 

sub0202_t1_170831_03.png
(좌측부터)안중근 의사 사진, 유언 내용. (사진=안중근의사기념관)

 

오늘로부터 114년 전인 1910년 2월 14일, 안중근(1879~1910) 의사가 일제로부터 사형을 선고 받은 날이다. 이후 감옥에 수감된다.

안중근 의사는 지난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역에서 대한제국 침략을 주도한 인물인 일본 총리대신이자 초대 조선통감 이토 히로부미(1841~1909)를 처단해 살인혐의 피고인 신분으로 일제로부터 사형을 선고 받았다.

안 의사는 1910년 3월 26일 오전 10시, 뤼순감옥(중국 랴오닝성 다롄시)의 형장에서 순국했다. 안중근 의사의 시신은 아직도 어디에 있는지 모른다. 일제는 안중근 의사의 순국을 계기로 항일운동이 확산될 것을 우려해 시신을 돌려주지 않았다.


중화민국 초대 대총통 위안스카이(1859 -1916)는 "몸은 한국에 있어도 만방에 이름 떨쳤소. 살아선 백 살이 없는 건데 죽어 천년을 가오리다."라고 영웅의 길을 추앙했다.

 

중국 신해혁명을 이끈 쑨원(1866~1925)은 안 의사를 위해 발문을 썼고, 당시 중국의 저망한 지식인 장타이옌(1869~1936)은 안 의사를 "아시아 최고의 의로운 협객(亞洲第一義俠)”이라고 불렀다.

중화인민국공화국 초대 총리를 지낸 저우언라이(1898~1976) 역시 "중·일 갑오전쟁(청·일전쟁) 이후 20세기 초 안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하얼빈 역에서 척결했다. 일본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두 나라 인민의 공동 투쟁이 시작됐다”고  높이 평가했다. 

국민당 장제스(1887~1975) 총통 또한 안 의사를 기려 "장렬한 뜻이 천년 길이 빛나리(壯烈千秋)”라는 글을 남겼다.


안 의사는 "내가 죽거든 시체는 우리나라가 독립하기 전에는 반장(返葬, 객지에서 죽은 이의 시체를 그가 살던 곳이나 고향으로 옮겨 장사를 지냄)하지 말라, 대한 독립의 소리가 천국에 들려오면 나는 마땅히 춤을 추며 만세를 부를 것이다”라는 유언을 남겼다.


1910년 안의사는 일제의 억압과 폭거에 맞서 대한의군 참모중장으로서 민족의 적 이토히로 부미 척살하면서 "꼬레아 우라(대한민국 만세)"를 외치고 당당히 그들앞에 눈을 부릅뜨고 섰다.

 

안 의사는 이토를 처단하고 이후 수감 기간 동안 당당했고 빛나는 유훈을 남겼다. 

 

마지막까지 집필했던 ‘동양평화론’의 가치와 세계 평화를 꿈꾸던 안중근 의사의 정신이 시대정신이 되어 우리에게 울림이 되고 있다.


그리고 옥중에 갇힌 약 한 달 반 기간 동안 200여 점의 유묵을 남겼다. 

 

안중근의사가 남겨준 군인정신의 지표인 ‘위국헌신 군인본분(爲國獻身 軍人本分·나라를 위해 몸을 바치는 것이 군인의 본분이다)’이 대표적 유묵이다.  테러리스트가 아니라 ‘대한의군 참모중장’ 자격으로 행한 일이라 선언한 것이다. 

 

국제사회 이목이 집중되자 안 의사가 재판을 통해 일본의 만행을 알렸다. "첫번째 죄는 남의 나라 왕비를 시해한 죄"다.

 

일주일 만에 6차례의 비공개 공판을 몰아치고 안 의사에게 곧장 사형을 언도했다. 정당성과 절차는 모두 무시된 사형 집행 후 안 의사의 유해조차 숨겼다. 무덤이 독립운동의 성지가 될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어디에도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최근 110년 만에 현해탄을 건너 고국의 품에 돌아온 안의사 유묵은 경매에서 19억5000만원에 낙찰이 됐다. 이어서 또 하나의 유묵이 경매를 통해 귀환될 예정이다.

 

오늘은 대한민국 국군정신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는 '위국헌신 군인본분'을 통해, 안의사의 애국정신을 한번 되돌아 볼 날이다.

 

조국으로 돌아온 안의사의 유묵 소식과 함께 언젠가는 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을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