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4 (토)

[금요연재] 도자의 여로 (129) 백자중첩편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요연재] 도자의 여로 (129)
백자중첩편

  • 특집부
  • 등록 2024.01.26 07:30
  • 조회수 13,849

수더분한 매력과 더불어

 

         이규진(편고재 주인)

 

도자기를 소성하기 위한 가마는 일정한 공간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 것은 가마 안에 도자기를 재임하기 위해서는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가령 가마 바닥에 고급의 갑번이나 예번을 늘어놓았을 때 그 수량은 지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고급품이 아닌 하품이나 대량 생산을 위해서는 그릇과 그릇 사이에 받침을 넣어 포개어 굽게 된다. 이 경우 굽은 물론이거니와 그릇 내저에도 흔적이 남게 된다. 그렇다고 하면 받침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 것일까.

 

청자와 백자에서 쓰인 받침은 같은 것도 있지만 다른 것도 있다. 우선 같은 종류를 보면 가는모래받침, 굵은모래받침, 내화토빚음받침, 모래빚음받침 등이 있다. 다른 것으로는 청자에서는 규석받침이 있고 백자에서는 태토빋음받침이 있다. 청자에서 내화토+모래받침이나 백자에서 흙물+굵은모래받침 등도 다른 종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자의 여로 (129) 백자중첩편.jpg
백자중첩편(편고재 소장) 굽지름x몸통지름x중간지름x입지름 13x17.5x5x17Cm

 

이처럼 받침을 이용해 포개어 굽는 과정을 너무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 백자중첩편이다.굵은모래받침을 이용해 그릇을 포개어 굽고 있는데 그 수량이 무려 여덟 점이나 된다. 아래쪽에는 발 다섯 점이 틈 없이 들러붙어 있고 중간에는 흔적만 남은 것 그리고 위쪽으로는 완 안에 잔이 들어 있어 모두가 여덟 점이 되는 것이다. 유색은 회백색에 잔 안에 내저 원각이 있는 것으로 보아 17C 지방가마에서 만들어진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그런데 백자충첩편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면 흡사 청자의 잔탁을 마주하고 있는 느낌이 들어 미소가 절로 머금어 지고는 한다.

 

받침 중에서도 백자중첩편에서 보이는 굵은모래받침은 지저분해 보이는 등 보기에 깔끔하거나 아름다워 보이지는 않는다. 하지만 서민과 싼값의 대량생산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하면 이해가 안 가는 것도 아니다. 갑번이나 예번이 지닌 수량의 한계, 이를 극복키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고 하면 나름의 의미는 충분히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아쉬운 것은 굵은모래받침의 백자중첩편이 그나마 들러붙고 깨지는 등 훼손이 심해 서민들의 손에조차 다가가지 못하고 좌절한 점일 것이다. 하지만 어찌 도자기 중에서 갑번이나 예번 등 상품만이 사랑 받는 존재였겠는가. 하품이기는 하지만 백자중첩편이 온전해 서민들의 손에 들어갔더라면 이 또한 그들에게서 애지중지 사랑 받지 않았다고 누가 장담할 것인가. 그래서인지 끝내 제 몫을 못하고 좌절한 백자중첩편을 보고 있노라면 왠지 모르게 고급품에서 느끼는 저 특별한 미감과는 달리 수더분한 매력과 더불어 더욱 쓸쓸하면서도 애잔한 감정이 느껴지고는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