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9 (월)

[새책] 판소리의 역사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책] 판소리의 역사

한국 전통예술의 꽃, 판소리 400년간의 역사 기록
17세기부터 현재까지 여섯 시기 구분
창극, 마당극, 북한의 가극까지

 

"판소리는 과거 어느 한 지점에서 멈춘 것이 아니라 현재에도 땅 밑을 흐르고 있고, 또 미래에는 도도한 물결을 이루어 나갈 것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한 시대의 가장 예리한 문제를 포착하여 예술화했던 판소리는 그 당시의 것으로 만족하는 예술이라는 점이다."


숙명여대 교수로 반세기 가까이 판소리를 연구해 온 저자가 17세기부터 현재까지 약 400년의 판소리 역사를 책에 담았다.

 

저자는 판소리의 범위와 구성, 기원과 시대 구분 등 판소리 역사를 기술하기 위한 기본 전제를 먼저 정리한다.

 

이어 판소리 형성 시대, 송흥록의 시대, 성장과 지속의 시대, 변화와 모색의 시대, 전승과 보존의 시대, 우리 시대로 구분해 설명한다.

 

각 시대에 관한 기술은 시대 개관, 그 시대를 특징짓게 한 역사적 사실, 그 시대에 활동한 연창자와 고수에 대한 설명으로 이뤄졌다.

 

이 책은 모두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판소리의 역사 들어가기’에서는 판소리의 범위와 구성, 기원과 시대 구분 등 판소리의 역사를 기술하기 위한 기본 전제를 정리했다. 이 장에서 저자가 특히 염두에 둔 것은 ‘판소리는 살아 숨 쉬는 존재’라는 점이다. 판소리의 형성 시기를 똑 부러지는 특정의 시대로 설정하지 않고 다소 느슨하게 여유를 두고, 시대의 구분이 서로 겹칠 수 있게 한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그리고 2장부터 7장까지 각각 형성 시대, 송흥록의 시대, 성장과 지속의 시대, 변화와 모색의 시대, 전승과 보존의 시대, 우리 시대로 구분했다. 각 시대에 관한 기술은 시대 개관, 그 시대를 특징짓게 한 역사적 사실, 그 시대에 활동한 연창자와 고수에 대한 설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저자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역사 기술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모든 생명체가 그러하듯이 판소리라는 예술형태가 긴 흐름 속에서 형성, 전개되었다고 보았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마찬가지로 특정 시대를 규정한 역사적 사실은 그 시대로 국한되지 않고, 그 이후의 시대에도 지속하여 나타나기 마련이다. 이런 경우 뒤의 시대에 일어난 일까지 포함하여 서술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창극이 시작된 ‘변화와 모색의 시대’에서, 다음 시대의 창극까지 함께 언급한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엄밀한 의미에서 판소리계소설이나 창극, 마당극, 북한의 가극 등은 판소리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것들은 판소리를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졌지만, 이미 장르를 달리한 예술형태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저자는, "판소리를 설명함에 있어, 이 장르를 같이 언급하는 것이 여러 면에서 유용하다고 생각하”여 이에 대한 설명도 수록했다.
 
 저자는 "판소리계소설은 지향이나 의식에 있어 판소리와 공통의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창극이나 마당극을 만들고 키워간 집단은 끊임없이 판소리 연창자들로부터 배출되고 있”고, "북한의 민족가극이나 혁명가극 형성에 있어서도 이들의 역할은 심대하였다.”고 하면서, 이러한 역사적 기여의 흔적을 남기기 위해서라도 이들을 판소리의 역사에서 언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한편, 판소리의 역사는 연창자, 고수와 후원자 그리고 이를 향유하는 청중들이 만든 문화이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연구가 역사의 중심을 이루어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저자는 이 책에 조선 인조~효종 연간에 활동한 예인 박남(朴男)부터 1959년생 고수 박근영(朴根永)까지, 각 시기의 명창, 고수, 후원자들 201명을 소개하고 있는데, 이는 판소리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