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3 (금)

[Pick리뷰] 창작 국악의 힘, 경계를 넘나드는 자유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리뷰

[Pick리뷰] 창작 국악의 힘, 경계를 넘나드는 자유

제16회 21c창작음악프로젝트 본선 돌아보기
10팀의 경계를 넘는 자유로움
“음악적 편견을 깨는 새로운 세계”

지난 915, 국악방송이 주최하는 1621c한국음악프로젝트본선 경연이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개최되었다.


저녁 7시 생방송을 앞둔 시간, 객석은 채워졌고, 무대는 첫 출연팀의 악기들이 준비되어 있다. 기자 눈에 들어온 카메라만 8. 무대 위의 모습을 놓치지 않고 시청자들에게 고스란히 전달할 것이다. 이 날 참가자들의 무대는 경연이기 이전에 객석을 흥분시키기도, 감동을 자아내기를 반복하면서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882F7177-37B4-4559-BA5F-6A1F007EEE6A (2).jpeg
[국악신문] 제16회 21c한국음악프로젝트 본선 ‘O(오)’팀의 공연 모습. (사진=국악방송) 2022.09.15.

 

O() ‘0()’

팀 이름에서 알 수 있듯팀과 곡 이름에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아마도 자신들의 음악에 제한과 전형성을 거부하는 음악적 주관에서 나온 것이 아닐까 싶다그래서인지 그들의 음악은 몽환적인 피아노 선율을 시작으로 하얀 화선지에점을 찍듯이 시작한다사운드가 더해지면서 묵직한 붓으로 채워가는 수묵화가 그려지는 듯하다장구대금피리꽹가리징 그리고 전자기타까지 선율을 타고 리듬과 어우러진다듣는 이는 곡의 기승전결을 따라 숨죽이며 따라갈 뿐이다절정에서는웅장한 북소리보컬과 어우러지는 전체 합주는 무속의례를 연상케 한다듣는 이의 가슴을 치듯 강렬하고도 부드럽다과연 그들의 곡은 가슴을 울리는 완벽한 사운드를 들려줬고그들의 서사와 드라마를 느끼기에 충분했다대회 첫 주자로서 이 대회가 이 정도입니다.’라고 말하는 듯관객들의 기대를 한껏 올려줬다.


오프로드.jpg

[국악신문] 제16회 21c한국음악프로젝트 본선 ‘오프로드’팀의 공연 모습. (사진=국악방송) 2022.09.15.
 

오프로드

모래언덕을 뜻하는 ’. 광활하고 메마른 사막을 헤쳐 가며 반복되는 여정과 모험을 표현한 곡. 빠른 비트의 가야금, 그리고 장구도 함께 속도감을 준다. 여기서 합류하는 양금의 고음은 신비감과 함께 황량한 대지를 연상케 한다. 절정에서 장구의 빠른 비트와 함께 저음과 고음 각 자리에서 묘한 조화를 이루는 양금, 가야금과 베이스기타의 향연은 가슴을 울린다. 아마도 정상에 오른 감격의 표현일 듯. 그리고 다시 속도를 되찾는 곡은 공허함과 새로운 여정을 의미할 것이다. 한 참가자의 거문고와 베이스기타를 능숙하게 넘나드는 연주에 놀라웠고, 가야금의 울림과 피아노의 음색을 동시에 가진 양금의 매력에 한껏 매료되는 시간이었다.


6A0CA302-FB87-4636-A90C-9B3E3D4D89D0 (3).jpeg
[국악신문] 제16회 21c한국음악프로젝트 본선 ‘이러리-저고리’팀의 공연 모습. (사진=국악방송) 2022.09.15.

 

이러리-저고리 풀어라!’

팀 이름은 색동저고리의 제주방언이다. 풀어라!’는 비나리 형식을 빌리지만, 경쾌한 그들만의 방식으로 청춘들의 고민을 풀고자 한다. 한 외국인 참가자가 눈에 띄는데, 그는 아프리카 전통악기 발라폰(울림통 이용한 목재 실로폰)과 고니(나무와 조롱박으로 된 기타와 유사한 현악기)의 연주로 함께하며, 곡의 음색은 더욱 풍부해진다. 발라폰의 경쾌함과 태평소의 힘찬 울림이 어깨를 들썩이게 한다. 청춘의 고달픔마저도 기꺼이 받아들이고,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고픈 청춘들의 당찬 면모를 느낄 수 있다. 아시아와 아프리카 전통악기의 만남이라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음악적 경험이다.


image01000;.jpg
[국악신문] 제16회 21c한국음악프로젝트 본선 ‘구이임’팀의 공연 모습. (사진=국악방송) 2022.09.15.

 

구이임 나븨

나븨를 뜻하는 옛말. 고장 난 시계에서 떨어져 나온 작은 쇳조각이 나비가 되지만, 결국 시간에 젖어 녹슬고, 아늑한 기억 한 때에 머물며 진정한 자유를 찾는다는 서사를 표현한다. 정가 특유의 긴 호흡의 신비로운 음색과 고음의 가야금은 쇳조각이 나비가 되는 판타지를 떠올리기에 충분했다. 피아노와 가야금이 함께 곡을 받쳐주며, 남녀보컬은 고음과 저음 각 자리에서 오묘한 조화를 이룬다. 가야금은 때로는 타악기로 변신하거나 줄로 끄는 듯한 방법으로 고음과 저음을 구현하며, 보컬과 함께 곡 전반의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기도 했다.

 

ED28F8EE-03B3-46A5-95EF-0C3E4B12E75D (1).jpeg
[국악신문] 제16회 21c한국음악프로젝트 본선 ‘반쯤 핀 꽃’팀의 공연 모습. (사진=국악방송) 2022.09.15..

 

반쯤 핀 꽃 반쯤 핀 꽃

경기민요 매화타령을 모티브로 만든 곡팀 이름과 같은 반쯤 핀 꽃이라는 곡은 활짝 핀 꽃보다 그 과정에서 시련을 이겨내는 과정에 더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국악 여성 보컬의 느린 박자에서 남성 보컬의 빠르고 힘찬 타령의 합류이후 모든 보컬의 합창은 강렬한 시작을 알렸다양악 보컬이 독특한 음색으로 합류하면서 분위기는 한껏 오른다드럼은 비트를 더하고첼로는 묵직하면서도 부드럽게 경쾌함을 돕는다매화타령이 리듬과 비트를 타고드럼첼로기타피아노 등과 힘을 얻는다분위기는 고조되고 듣는 이의 다리는 어느새 리듬을 타고 있다시련과 고민을 안고 가는 청춘에게 괜찮아할 수 있어.’라고 외치는 듯한 곡이다.

 

9EB93048-8326-4ACF-B2E2-E367A101705F (1).jpeg
[국악신문] 제16회 21c한국음악프로젝트 본선 ‘줄헤르츠(JUL Hz)’팀의 공연 모습. (사진=국악방송) 2022.09.15.

 

줄헤르츠(JUL Hz) ‘블루(Blue)’

현악기의 줄(Jul)과 주파수를 뜻하는 헤르츠(Hz)를 조합하여 만든 팀 이름거문고가야금아쟁 3명의 현악기 연주자들은 연주의 진동까지 느껴지는 섬세한 연주로 대중과 주파수를 맞추고자 한다그들의 곡 블루(Blue)'는 평화를 상징하는 색이다세상의 모든 갈등과 전쟁에 상처 받은 이들을 위로하고평화를 염원하는 사회 참여적인 메시지를 갖는다빠르고 반복되는 듯한 리듬은 묘한 긴장감을 주었다가야금거문고아쟁이 갖는 특유의 음색을 보여주면서도현악기가 구현할 수 있는 최대한의 음악적 언어를 경험할 수 있었다활을 타고 흐르는 거문고의 굵직한 고음은 상처받은 이의 슬픔 같기도그들을 향한 위로 같기도 했고가야금과 아쟁은 고음과 저음을 오가며서로 대화하는 듯한 음악적 화합을 보여주기도 했다.

 

FDE612E1-C6E9-4178-9068-6B4645B4F342 (1).jpeg
[국악신문] 제16회 21c한국음악프로젝트 본선 ‘여완x케빈’팀의 공연 모습. (사진=국악방송) 2022.09.15.

 

여완x케빈 달에게

정가 보컬리스트와 재즈피아니스트의 만남드뷔시의 달빛을 오마주 한 곡정가 보컬의 고음이지만 속삭이는 듯한 음색이 동화적 곡에 녹아 내린다나도 모르게 마음 깊숙이 자리하던 동심을 떠올린다마치 어린이가 되어 노래로부터 위로 받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그 순간나로 모르는 울컥함이 차오른다달에게 속삭이듯 노래하던 달아달아~’ 가사는 지금도 귓가에 맴돈다피아노 반주를 타며동화적 감성으로 정가를 노래하는 그녀는 분명 신이 만든 악기임이 틀림없다.

 

image02ㅌㅌㅌ.jpg
[국악신문] 제16회 21c한국음악프로젝트 본선 ‘피리밴드 저클(JC Crew)’팀의 공연 모습. (사진=국악방송) 2022.09.15..

 

피리밴드 저클(JC Crew) ‘가위바위보!’

이동하며 연주가 가능한 관악기의 특성을 살려 역동적이고 유쾌한 퍼포먼스가 객석 분위기를 완전히 바꿨다드럼과 기타의 경쾌한 박자를 타고 흐르는 태평소와 향피리 등 관악기들의 힘있고 경쾌한 음색을 즐길 수 있었다시종일관 역동적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7명의 관악기 연주자들은 독주로때로는 협주로 익살과 재미를 더해 보는 즐거움까지 선사했다꽹가리는 그 절정에서 놀이의 흥을 돋우며객석을 들썩이게 했다어릴 적 골목놀이를 연상케 하는 그들의 곡명은 바로 가위바위보!’.


image033333.jpg
[국악신문] 제16회 21c한국음악프로젝트 본선 ‘매간당’팀의 공연 모습. (사진=국악방송) 2022.09.15..

 

매간당 초면인 세계에 눈뜨다

매간당(魅衎黨:매혹할 매, 즐길 간, 무리 당)은 그들만의 새로운 멋과 소리를 담은 국악으로 관객들을 즐겁게 하고자 한다. 그들의 곡 초면인 세계에 눈뜨다는 악기를 처음 만났을 때에서 영감을 얻어 만든 곡이다. 악기에 대한 신선한 통찰을 통해 실험적 연주기법을 만나게 된다. 비트는 빠르고 곡은 빈틈이 없다. 거문고는 아쟁의 활과 만나고, 아쟁은 해금의 활대와 만나 이전에 없던 새로운 음색까지 만들어내는 그들의 음악은 과연 매력 그 자체였다. 강렬한 독주이자 협주를 듣는 느낌이다. 자신의 악기에 몰두하면서도 서로의 퍼즐을 맞추듯 곡을 완성해가는 연주자들의 모습은 강렬하면서도, 듣는 이가 소리에 더욱 집중하도록 이끈다.

 

A060A51C-7250-42AF-9741-6D4AC1CDE677 (1).jpeg
[국악신문] 제16회 21c한국음악프로젝트 본선 ‘소리꽃가객단’팀의 공연 모습. (사진=국악방송) 2022.09.15.

 

소리꽃가객단 be노정기

소리로 꽃피우자!’는 좌우명을 갖고 있는 팀. ‘be’는 새 제비를 뜻하지만, 박씨를 물고 날아와 복이 되다(be)’의 중의적 의미를 갖는다. ‘강도근제 홍보가 중 제비노정기를 사용했다. 5인 여성 소리꾼들은 역동적이고 현대적인 퍼포먼스를 선사하지만, 그들의 노래는 질펀하고도 힘찬 판소리다. 곡의 시작은 그루브 리듬을 연상시키는 드럼과 베이스기타의 비트, 그리고 피리의 고음이 어우러져 강렬한 인상을 준다. 후반부에서는 마치 락을 듣는 듯한 리듬마저 느낄 수 있다. 5인의 여성 소리꾼들은 서서 하기에도 만만치 않은 판소리를 댄스와 함께 소화해냈고, 관객들은 새로운 음악적 경험에 열광했다. 그들은 대중에게 판소리를 즐길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을 선사한 것이다.


창작국악을 들으면서 경험하는 새로움 중 하나가, 익숙한 소리나 가락을 들으면서, 현대적 감성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이다. ‘옛 것도 즐길 수 있구나, 가슴을 울릴 수 있구나라는 것을 느끼는 순간, 나도 모르게 솟아오르는 민족적 자부심과 희열은 창작국악이 주는 묘한 감동이다. 그 새로움과 자부심을 함께 느끼게 되는 그 순간, 시대의 옷을 입은 국악은 대중을 끌어들이게 되고, 이것이 창작국악의 힘을 발휘하는 순간이다.


본선 경연일 한 심사위원(이슬기 가야금연주자)의 심사평에 의하면, "연주자들의 창작 역량이 강해졌고, 그 음악적 기반이 단단해졌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는 그들의 음악은 자신의 고유 영역을 충분히 분석한 후에 얻은 것이며, 음악적 깊이를 갖춘 노력과 땀의 결과라는 평가를 의미한다. 경계를 넘나드는 모험을 하지만, 그것마저도 즐기면서 자신만의 음악적 길을 가고 있는 그들은 진정 또 다른 우리 국악의 모습이다. 전통음악이 지난 시대의 삶의 거울이라면, 창작국악은 지금 이 시대를 반영하는 또 다른 국악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이 시대 음악인이 국악을 계승하는 하나의 현명한 방법이 아닐까 생각한다.


창작국악은 일제시대 식민 지배를 위한 수단의 하나로 시작했다는 아픈 배경을 가지고 있다. 이는 받아들여야 할 우리의 냉정한 현실이다. 다만 시작은 그러했을지언정, 지금의 창작음악은 조금 더 주체적인 방향으로 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통음악을 품고, 새로운 음악을 모색하는 참신함, 삶의 깊이 있는 성찰이 담긴 곡의 메시지, 경계를 넘나드는 악기의 구성 등에서 그러한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그들의 음악적 상상력은 상상 그 이상이다. 아마도 국악이라는 세계가 주는 음악적 매력이 더해졌기에 우리의 감성을 더 자극하지 않았을까 싶다.


현장에서 기자가 한 가지 확실히 느낀 것은 이들은 음악을 진정 즐기고 있었다. 아니, 가지고 놀고 있었다는 표현이 맞는지도 모른다. 그 정도의 에너지가 없다면, 이토록 놀라운 창작품들이 나올 수가 없을 것이다. 이들이 가진 음악적 에너지와 감수성, 그리고 열정이 대중에게도 전해지기를 바란다. 그리고 내년에는 어떤 음악이 우리를 들뜨게 할지, 성급한 기대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