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6 (목)

[리뷰] 2022제주아리랑축제.....'탐라순력아리랑'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리뷰

[리뷰] 2022제주아리랑축제.....'탐라순력아리랑'

제주아리랑(일명 꽃타령)과 ‘탐라순력도’

화면 캡처 2022-06-22 233330.jpg

 

제주아리랑보존회와 영천아리랑연구보존회 공동주최로 지난 18일 제주시 탑동 탐라공원 공연장에서 2022제주아리랑축제가 개최되었다. 


주제는 '탐라순력아리랑'이다.


영천 출신 제주목사 이형상((李衡祥,1653~1733)1653-1733)이 남긴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 보물 제652-6호)가 보물로 지정이 되면서 이를 기념하는 의미에서 영천과 제주가 아리랑판에서 만났다.

 

조선시대 제주의 모습을 그린 기록 화첩 '탐라순력도'는 제주의 자연·역사·풍속·자연·문화·방어실태를 그림으로 그려서 한눈에 볼 수 있다.


다음은 문헌으로 전해지는 제주아리랑으로 불려지는 '꽃타령아리랑' 사설이다.


만화방창(萬花方暢) 방끗 만화방창 방끗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장대(帳臺)에 일등미색(一等美色) 곱다 자랑 마소

담안에 붉은 빛은 편시춘(片時春) 홍도화(紅桃花)


1936년 김두봉 편찬의 제주도실기에 수록된 꽃타령’, 일명 제주아리랑’ 17수 중 한 수이다. 제주도실기에는 이 출전이나 작사자나 시기를 밝히지 않아 작품 이름 외에는 미상인 상태다. 20여년 전 이 작품을 발굴, 소개한 아리랑연구가 김연갑 선생은 이 작품의 후렴을 주목하여 본 사설의 창작년도는 아리랑 후렴의 형성 시기인 19세기 초 이전일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런 의미심장한 말을 한 것으로 기억한다.


"후렴을 제외한 본 사설은 육지에서 들어온 지방관 정도의 유학자일 것이고, 시속(時俗)음악도 즐길 줄 아는 인물일 수 있다. 여기에 추정되는 인물이 악학편고(樂學便考)악학습령(樂學拾零)이란 악서를 편찬한 제주목사 이형상이라고 볼 수도 있다.”

 

[국악신문] 제주도는 보물(제652-6호)로 지정된 탐라순력도의 국보 승격을 문화재청에 건의했다고 2022년 2월 28일 밝혔다.

 

당시는 꽃타령과 아리랑의 관계, 그 작가를 제주목사 이형상으로 추정하는 것에 의아해 하였다. 그런데 이번 20여 년이 지나 탐라순력도에 대한 자료를 살피는 과정에서 이형상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1702년 제주목사로 부임하여 1년간 화공 김남길(金南吉)을 시켜 탐라순력도라는 기록화첩을 남겼음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두 종의 악서 중 악학습령시조·가곡을 수집 정리한 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이란 사실도 알게 되었다. 또한 이 분이 경북 영천 출신임도 알게 되었다.


이번 영천아리랑보존회와 제주아리랑보존회 공동행사의 계기성과 20년 전 꽃타령의 작자를 이형상으로 추정하는 이유도 비로소 알게 되었다. 결국 아리랑을 통해 18세기 제주 역사와 제주목사 이상현, 그리고 탐라순력도를 이해하는 계기를 갖게 된 것이다.


이번의 행사를 통해 영천의 역사 인물과 제주아리랑의 퍼즐 하나가 맞추어진다. 금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아리랑 등재 10주년이라서 더욱 의미로운 일이다


이번 공연의 기획의도는 첫째,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아리랑' 등재 10주년을 기념하여  '제주아리랑'의 정체성을 규명하는 계기를 찾아간다. 둘째, 제주목사 이형상의 탐라순력도와 함께 제주아리랑을 재조명 한다. 셋째. 이형상의 고향 영천과의 연계를 소환하기 위해 영천아리랑을 제주에도 알린다.  넷째, 제주아리랑의 컨텐츠화를 시도한다.


강소빈 회장은 "지난해부터 탐라순력도에 나와있는 경로잔치를 재현하기 위해 스토리텔링을 연출하여 이형상을 주인공으로 한 소극을 만들어서 무대화하였다. 그 무대에서 당연히 아름다운 기녀들이 제주아리랑 '꽃타령아리랑'을 불렀다. 

 

KakaoTalk_20220213_201754310.jpg
(사)제주아리랑보존회 강소빈 회장과 회원들. 2022.06.19.

 

영천아리랑보존회 전은석 회장은 "제주에서 영천아리랑을 처음 선보이는 계기가 되었다. 영천에서 제주목사로 간 이형상이 남긴 탐라순력도가 제주시의 보물로 지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나서 제주에 오니 더욱 뜻깊은 행사이었다."라고 전했다.


1부에서는 제주 토속소리 '서우제소리'와 '제주아리랑', 해녀 퍼포먼스가 선보이고. 2부에서는 '영천아리랑'과 '뱃노래, 제주 허벅춤 등 다채로운 장르를 통해 제주의 소리와 제주아리랑환타지(조천아리랑. 우도아리랑, 하르방아리랑)을 알렸다. 


초청 공연으로 무대에 선 서울아리랑보존회 유명옥 명창은 '애국가아리랑'과 '아미일영아리랑'이 불렸다. 특히 가파도에서 온 해녀가 해녀복을 입고 허벅춤을 추고 노래도 부르고 해녀의 삶을 읊어대는 1인극 퍼포먼스는 제주 여성의 고난과 희로애락을 표현했다.  

 

휘날레에는 '아리랑 대합장'을 관객과 함께 했다. 

 

KakaoTalk_20220619_215640896.jpg
[국악신문] 제주아리랑보존회와 영천아리랑연구보존회 공동주최로 지난 18일 제주시 탑동 탐라공원 공연장에서 2022제주아리랑축제가 개최되었다.

 

2012년 아리랑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됨으로써 국제적으로 문화의 다양성과 창조성을 입증하는 새계적 유산으로 인정받았다. 2014년는 아리랑이 국가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받아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아 미래 세대에 물려줘야 할 우리나라 총체적 유산의 하나로 인정받은 것이다. 이에 따라 "아리랑은 우리나라 전통민요의 하나”라는 표현에서 독립 종목 또는 독립 장르 ‘아리랑’으로 가시화되기에 이르렀다.


KakaoTalk_20220618_212540857.png
[국악신문] 제주아리랑보존회와 영천아리랑연구보존회 공동주최로 지난 18일 제주시 탑동 탐라공원 공연장에서 2022제주아리랑축제가 개최되었다. 사진은 휘말레에서 아리랑대합창 장면. 2022.06.18.

 

유네스코와 문화재청이 보고서에 언급한 아리랑의 수는 2012년 이전에 불러지는 60여 종이라고 했고,  이 ‘아리랑’은 지역성과 형태를 표제화 하고 창의성, 표현의 자유, 공감에 대한 존중을 담고 있다. 이것이 아리랑이 지닌 덕목의 하나로 누구든 지역적·역사적·장르적 변주로 문화적 다양성을 표현해 온 것이다.

 

제주도아리랑을 전승하는 회원들이 제주 역사와 제주아리랑이 상호 이해하고 아리랑문화의 가시화에 기여하길 바란다오늘같이 제주에서 영천아리랑과 제주아리랑이 만나는 장을 마련해 준 두 단체에 감사를 표한다.


[국악신문] 리허설을 마치고 분장실에서 얼쑤!!제주아리랑을 외쳐 보는 회원들. 2022.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