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논문] 송순섭 판소리 연구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논문] 송순섭 판소리 연구

곤도유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 편집부
  • 등록 2021.01.10 20:23
  • 조회수 316

 

논문초록

송순섭은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예능보유자로 지정된 현역 동편제 소리꾼이다. 판소리의 위상이 세계적으로 증대된 오늘날, 판소리 ‘보존’과 ‘발전’을 위해 힘을 기울이는 송순섭의 노력은 더욱 눈길을 끈다. 본 연구에서는 송순섭이 지금까지 형성해 온 예술세계를 살피기 위해 종합예술인 판소리의 장르적 성격을 살리고자 공연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공연학은 인류학의 인접학문으로 인류학의 방법론이 작용된다. 이러한 배경 하에 문헌자료 및 음반자료를 중심으로 전개된 종래의 판소리 연구의 방법론에 송순섭 본인과의 면담 조사를 첨가하였다. ‘판소리 연구’ 이름 아래 송순섭의 창극 활동까지 주목한 것은 공연학적 판소리 연구의 전제조건인 공연자 검토 단계에서 필수불가결한 요소였기 때문이다.
예술세계 구축에는 성장과정이나 과거의 기억, 사승·교류 관계 등이 반영되기 마련이다. 때문에 송순섭의 예술세계를 고찰하기 전에 제Ⅱ장에서 생애사 기술을 시도하였다. 출생부터 현재까지 ‘가족 관계와 판소리계 입문→박봉술과의 만남→김연수와의 교류→전수자로서 시련→인간문화재로서 후손 교육’이라는 통시적인 흐름에 따라 정리하였다. 송순섭은 박봉술을 직계 스승으로 모심으로써 정통 동편제 계승자로서의 의식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김연수와의 교류를 통해 사설의 중요성과 적극적인 창작 의욕을 길렀다. 또 전수자로서 내림소리의 완창 공연에 진력하는 모습과 인간문화재 지정 후 교육자로서의 면모 확대 양상을 살폈다.
송순섭의 주된 활동 내용은 판소리의 공연 및 사설 정리, 창극 공연의 셋으로 나눌 수 있다. 제Ⅲ장에서는 내림소리 공연 및 사설 정리에 주목하여 여기에 나타나는 예술세계를 살폈다. 내림소리 세 바탕은 현존 판소리 다섯 바탕 가운데 동편제적인 요소가 강하다. 탄탄한 구조와 간략한 사설이 남성적이라는 동편제를 대표하는 특징은 송순섭에 와서 더욱 강화되었다. 송순섭 창본은 음악·문학·연극적 견지에서 수용자 입장을 최대한 고려하여 형성되었다.즉 청관중의 청각적 재미 추구, 독서물로서 가치 확장, 사설 압축과 너름새 확대가 그 창본의 특징이다.
제Ⅳ장에서는 창극 공연에 주목하여 그 예술세계를 살폈다. 역사적 인물을 소재로 한 창극에서는 대부분 일본과의 불행한 역사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가 전개된다. 여기서는 송순섭의 애국애족 정신을 엿볼 수 있었다. 한편 설화나 동화 속의 이야기를 주제로 삼은 창극에서는 한국적인 정서를 전하였다. 송순섭의 창극에는 연출적 지향이 셋으로 대분된다. 청관중 지향으로 오락성 강화, 후계자 지향으로 교육적 활용, 작중인물 지향으로 제의성 강조가 그것이다.
제Ⅴ장에서는 송순섭 판소리의 판소리사적 가치와 의의를 확인하였다. 송순섭이 가진 특징적인 세 가지 면모에 주목하여 그 가치와 의의를 고찰하였다. 첫째 ‘국악 불모지를 개척한 소리꾼’으로서 부산에 거주한 24년 동안 국악 부흥을 위해 진력하였다. 부산에서 변함없는 국악인기를 유지하고 있는 것도 그의 노력이 밑바탕된 결과라 하겠다. 둘째 ‘동편제 소리를 계승하는 소리꾼’으로서 송흥록을 시조로 한 동편제 법통을 간직하고 있다. 셋째 ‘창극인으로서 소리꾼’으로서 창극 공연을 통해 국악계 내외의 정신적 거리를 줄여줌과 동시에 국악계의 미래를 쌓아가는 후손 교육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본래 ‘한국 고유의 민속예술’이었던 판소리는 ‘세계의 소리’로 의의가 확장되었다. 이에 따라 판소리계는 ‘보존’과 ‘발전’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극복해야만 한다는 사명을 따게 되었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송순섭에 의한 ‘후학 양성’과 ‘국악계의 문호 해방’을 제시하였다. 시대 요구에 적합한 활동을 의욕적으로 지속하고 있는 송순섭이야말로 판소리를 한 층 높은 차원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소리꾼이라 믿으며, 21세기 판소리와 소리꾼으로서의 참모습을 전망하였다.

Song Sun-seop is current dongpyeonje professional performer who is designated as a holder of No. 5 Pansori ,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oday when the fame of Pansori is increased internationally, Song Sun-seop's effort trying to 'preserve' and 'develop' the Pansori pays more attention. This study tried the Performance Studies approach emphasizing the genre features of Pansori as a composite art in order to investigate his art world which has been formed until now. The Performance Studies as a related study relates to the anthropology, so the methodology of anthropology is used in this study field. This study added the data from interviewing Song Sun-seop to the existing methodology used in previous Pansori studies, which were developed around the literature review and music album data under such background. Under the title of 'Pansori Study', the reason that this study focused on his activity in Changguk(Korean traditional opera) was because the activity was a necessary factor for the stage of reviewing performer as the precondition of Pansori research using the Performance Studies approach.
The performer's growth process, his remembrances, hi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successors are reflected in forming the art world. So, before reviewing Song Sun-seop's art world, this study tried to describe his life history in Chapter II. From the birth to today, his life story is described in time order under the subtitles of his family and his entrance to the Pansori world → his meeting with Park Bong-sul → his exchange with Kim Yeon-su → his ordeal as a Pansori bearer → his teaching successors as a human cultural asset. By being directly taught by Park Bong-sul, he established the consciousness as the orthodox bearer of dongpyeonje. Through his exchange with Kim Yeon-su, Song Sun-seop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narration called as saseol in Pansori, and raised active creation spirit. Besides, this study investigated his appearance taking full efforts in performance of naerim-sori(ancestral sound of voice and music) in full as the bearer of dongpyeonje and his expanded ability as a teacher after being designated as a human cultural asset.
Song Sun-seop's major activities can be divided into 3 categories: performances of , , ; the saseol summarization; the performance in Changguk. Chapter III focused on his naerim-sori performances and saesol summarization, and investigated his art world seen in these activities. 3 batang(version) Pansori works of naerim-sori have the strongest features of dongpyenje among the existing 5 batang Pansori works. Dongpyeonje's representative, masculine features of solid structure and simple are more reinforced by Song Sun-seop. His changbon(a vocal music script) was composed in fully considering the receiver from the aspects of music, literature and drama. That is, the increased auditive interest for audience, the expanded value as the reading text, the compressed saseol and the expanded neorumsae (motions) were the features of his changbon.
In Chapter IV, this study focused his performances in Changguk and investigated his art world around such activities. Most Changgeuk by Song Sun-seop based on historical figures have the background of Korean's misfortunate history colonized by Japanese. In this section, Song Sun-seop's patriotic spirit can be seen. Meanwhile, in Changguk dealing the tales or fables, he delivered Korean emotions to the audience. His performances in Changguk are divided into 3 directional orientations: the audience-orientation for reinforcing the amusement, the successor-orientation for educational utilization, and the character-orientation for emphasizing the proposal feature.
Chapter Ⅴ identified Song Sun-seop's value and meaning as a professional performer in the Pansori history. This study focused on his 3 aspects as a performer and investigated their values and meanings. First, he have took full efforts for re-boosting the gukak(Korean traditional music) for 24 years while he has lived in Busan as the performer developing the barren land against gukak. Gukak's constant popularity in Busan may be the result from his efforts. Second, as the successor of the songs of dongpyeonje, he succeeded to the dongpyeonje line originated from Song Heung-rok, the ancestor of dongpyeonje. Third, as the performer playing the Changguk, he has greatly contributed in narrowing the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gukak world and out world through several Changguk performances as well as training disciples to be responsible for future gukak world.
Pansori, which was originally the Korean unique folk art, expanded its meaning into the world sound. Accordingly, the Pansori world came to have the mission to solve the both challenges of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To solve these matters, this study proposed the both solutions of training disciples and opening the door of gukak world. Believing that Song Sun-seop consistently doing activities suitable for the current age's needs would be the professional performer to leading the Pansori to a higher plane of achievement, this study forecasted the Pansori's status in 21C and Song Sun-seop's true appearance as a professional perfor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