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리뷰] 강민정&채수현의 '서울새남굿' 무가와 경기민요 들어보세

진짜 무당과 진짜 소리꾼이 한 무대에서 굿도 하고 노래도 하고
원무당과 창부무당의 신명나는 조합

특집부
기사입력 2023.07.04 10:00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일제강점기 서울굿은 진짜 신이 내린 원무당과 노래를 담당하는 창부무당이 각각 존재했다. 즉 굿판에서 노래하고 춤추는 역할을 담당하며 함께 굿을 하는 엔터테인먼트 성격의 기예무당이 따로 있었다. 


    이러한 역할의 나눔은 굿 법식에 맞게 굿을 집전하는 무당도 중요하지만, 굿판의 신명을 올릴 수 있는 노래 잘하고 춤 잘 추는 무당이 굿판에는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래야 잘한다는 말을 듣게 되고 굿판의 규모(자본)를 결정하게 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지난 15일 서울 서초구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에서 '무가'와 '민요'가 만나는 특별한 공연이 있었다. 

     

    진짜 무당과 진짜 소리꾼이 한 무대에서 굿도 하고 노래도 하는 굿판같은 전통을 재현한 무대라고 할까.


    초여름이 막 시작된 6월 중반 원무당과 창부무당이 서초동에 떴다. 서울새남굿의 관록(貫祿)이 넘치는 큰 만신 강민정과 문예(文藝)를 겸비한 으뜸 소리꾼 채수현이다. 이들이 ‘노래’ 무가와 민요를 선사했다.

     

    서울굿 만신들 사이에는 "영검함은 신령이 내리지만 재주는 인간이 배워야 한다”라는 말이 있다. 족집게 같은 공수와 예능적인 기예는 각각 별개라는 점을 전하고 있다. 장구 장단을 전담했던 기대까지 따로 두면서 소위 전문 분야를 두었던 셈이니 굿판의 신명과 흥은 창부무당 몫이었다. 


     

    먼저 강민정이 공연장의 부정한 기운을 물리며 정화하는 '부정청배'와 본향신을 찬양하는 '본향노랫가락'을 부르며 서울새남굿의 무가를 선보였다. 이어서 서울새남굿의 백미라고 할 수 있는 중디밧산거리의 무가를 부르며 대체 불가의 서울새남굿 만신임을 여실히 드러내었다.

     

    부정청배와 중디밧산을 부르는 강민정. (사진= 한엔터테인먼트). 2023.06.15.

     

    채수현은 일제강점기 유성기 음반에 담겼던 '구조노랫가락', '금강산타령', '바위타령'을 복원하여 부르며 당대에 활용되었던 노랫가락의 여러 양상을 우선 들려주었다. 다음으로 '현행 노랫가락'을 정갈하고 단정한 소리로 들려주며 현재에도 사랑받는 노래라는 점을 확인시켰다.

     

    노랫가락의 내력을 이야기하고 있는 채수현 (사진=한엔터테인먼트). 2023.06.15.

     

    이어서 강민정은 상산거리의 거상춤을 추며 공연장의 분위기를 바꾸었다, 14살에 신내림을 받고 48년의 세월 동안 서울굿판에서 활동한 만신의 아우라가 무대에 가득했다. 이때는 현재 서울굿 대표 악사로 활동하고 있는 피리 한영서, 해금 허무길, 대금 김재용이 합세하여 '반염불', '허튼타령'을 연주하며 진정한 굿판의 삼현육각이 어떠한 것인지 들려주었다. 그러다가 강민정이 상산신의 무복을 벗으면서 "아 대감”하며 만수받이를 부를 때 벙거지에 철릭을 갖추어 입은 채수현이 등장하며 갑자기 분위기를 바꾸었다. 강대감 채대감의 무대가 시작되었다.

     

    (좌측)상산거리에서 공수를 주고 있는 강민정. (우측)대감거리에 등장하는 채수현.  (사진=한엔터테인먼트). 2023.06.15.

     

    두 대감의 대감타령은 어찌나 흥겹고 너스레를 떠는 재담과 공수는 또 어찌나 손뼉을 치게 하는지, 두 대감의 연행에 관객은 저도 모르게 무감을 서고 있었다. 누가 원무당이고 누가 창부무당이었던가. 채대감의 거침없는 공수에 강대감은 얼쑤나 얼쑤나 하며 추켜세운다. 채수현의 자리는 굿판이어야 했나를 의심하게 했다.

     

    강대감과 채대감이 대감타령을 부르며 놀 때 이 공연의 절정이 왔다고 생각하였으나 진짜가 또 나왔다. 두 대감은 신령님 복색을 모두 벗고 평 한복을 소리꾼의 모습으로 창부타령을 시작했다.


    "지리하구나 임이별은 생각사로다

    목이메여 잠을 이루면 잊을까해도

    차마 진정코 못잊겠네

    잊으랴고 애를 쓴들

    든정이 병이되어 살으나니 간장이라


    증경은 쌍쌍 녹담중이요 호월은 단단 영창롱인데

    적막한 나유안에 촛불만 돋우켜고

    인적적 야심한데 귀뚜람소리가 처량하다

    금로에 향진하고 옥루는 단단한데

    돋은달이 지새도록 뉘게 잡히어 못오시나

    임이야 나를 생각하는지 나는 임생각 뿐이로다”


    대감거리에 등장하는 채수현, 창부타령을 함께 부르고 있는 강민정과 채수현 (사진=한엔터테인먼트). 2023.06.15.

     

    칼칼한 굿판의 어정소리를 내던 만신 강민정은 "지리하구나 임이별은 생각사로다”하고 새로 배운 패개소리로 창부타령의 앞소리를 낸다. 굿판에서 신령의 소리로만 불렀던 창부타령을 세속의 소리로 내니 만신으로 살아온 서슬 선 삶의 소리보다는 그저 세월을 품어 넉넉해진 여인의 소리가 난다. 그 자리에는 내가 진정 못 잊어 애달아하는 임은 어쩌면 다시 못 오는 청춘이고 되돌릴 수 없는 세월이라고 노래하는 소리꾼만 있었다. 강민정을 소리판에 잡아두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채수현은 구현력이 좋고 탄탄한 성음의 소리꾼이다. 어정판의 신명에 거침이 없이 뛰어들었지만, 패기소리판으로 끌어낸 만신을 위해서는 그저 덜 것도 없고 보탤 것도 없는 소리를 내며 자신을 낮추었다. 영민하면서도 인간적 내면이 소리에 배어 나왔다. 우리가 민요라고 부르고 있는 익숙한 소리가 실상은 굿판의 소리를 모체로 하고 있다는 것을 진짜 무당과 진짜 소리꾼이 한 무대에서 굿도 하고 노래도 하였다.


    공연을 마치고 2주가 훌쩍 지난 지금 만신과 소리꾼은 각자의 영역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을 것이다. 공연 말미에 각자의 자리를 잘 지키자고 다짐을 하였으니 말이다. 그런데 벌써 한 무대에서 노래하고 춤추는 이 둘을 다시 보며 귀가 호강하는 신명을 받고 싶다.

     


    경연대회

    경연대회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