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국악신문] 이윤선의 남도문화 기행 (74)

'남도학'과 '남도소리'

특집부
기사입력 2023.01.02 07:30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이윤선(문화재청 전문위원)  

     

    f'남도학'과 '남도소리'.jpg
    송순단 주재 재수굿(날받이)에서 민요를 부르고 있는 송가인(오른쪽)과 그 친구들

     

    남도소리란 무엇일까? '한국호남학진흥원' 주관으로 '남도학'이라는 교재가 만들어졌다. 나는 그간 써두었던 기록들을 병합해 '남도소리' 항목을 집필하였다. 여기 그 일부를 소개하여 '남도소리'가 무엇인지, 걸어온 길과 걸어갈 길은 무엇인지 밝혀두고자 한다.


    협의의 남도소리는 '남도잡가'를 말한다. 1928년 평양 권번에서 예기(藝妓)들을 가르치기 위해 김구희가 엮었던 '가곡보감(歌曲寶鑑)'에 보면, 가곡, 가사, 시조, 서도잡가, 남도잡가, 경성잡가 등이 실려 있다. 남도잡가라는 이름이 일찍부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전라도와 경상도 지방의 잡가라 풀이해두었다. 전라도지역의 보렴, 새타령, 화초사거리와 경상도지역의 골패타령

     

    성주풀이 따위로 설명한다. 하지만 문화권역으로서의 남도는 호남의 이칭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호남지역의 잡가로 범주를 좁히는 것이 유용하다.


    그런데 육자배기, 농부가, 진도아리랑, 흥타령 따위를 거론하게 되면 잡가의 범주를 넘어선다. 토속민요을 포함하는 호명방식이기 때문이다. 흔히 남도지역의 '()'이라는 뜻으로 '남도창'이라 한다. 판소리를 포함하는 인식이다.


    여기에서 광의의 남도소리에 대한 개념이 대두된다. 민요, 잡가를 포함해 판소리, 시조, 가곡, 무가, 나아가 남도에서 노래했거나 남도를 노래한 모든 장르를 포괄하는 개념 말이다. 따라서 광의의 남도소리는 남도의 모든 노래를 포섭하는 개념이다.


    이들 모두를 대표하는 곡목이 육자배기다. 흥그레타령에 토대한 이 노래는 문학적으로 따지면 민요와 잡가를 거쳐 가요까지 연결된다. ()과 흥()의 정서가 어떤 장르들까지 파급되었는가를 살펴보면 고개가 끄덕여진다.


    지금은 연구가 무르익지 않았지만, 재창조 100여년을 앞두고 있는 트로트 또한 남도소리의 한 분파로 개념화하는 날이 올 것이다. '남도학'이 씨줄 날줄의 시공을 교직하는 현재적 어떤 정체라고 정의할 수 있다면 마땅히 남도소리의 개념범주는 미래지향적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경연대회

    경연대회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