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11

‘미 도 시 라 미’와 ‘미 도 시 라 파’

특집부
기사입력 2021.08.24 07:30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10를 보고, 보내주신 의견을 애독자분들과 공유하고자 한다.

     

    "오늘도 잘 봤어요^^, 근데 한 가지 착오가 있는 듯해서 ㅡ문의, ‘요나누끼(四七拔)’ ‘도 레 미 솔 라는 한국의 전통음계인  ‘((((()’에 해당한다." , ()은 중()의 오기인 듯 하네요. 요나누끼는 . . . . . ??.”(서울예술대학교 하주화 명예교수 제보)

     

    "선생님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5음 음계를 논술하신 부분에서 서양의 평균율 5음계와 중국의 궁조 5음계, 일본의 요나누끼 음계(5음계)는 모두 도음계(, , , , )가 맞습니다하지만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우리나라 5음계(황 태 중 임 남)는 도 레 미 솔 라가 아닌 솔, , , , , 음 구조입니다. 도음계 구조로 말씀하시려면 황, , , , (, , , , )로 되어 있다고 하셔야 합니다. 이는 우리나라 전통음계 중에서 서양의 5음계(Pentatonic Scale)와 유사한 음계는 황, , , , 남을 예로 든 솔음계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민요 중에 아리랑과 같이 맺는 음이 도음으로 끝나는 음악을 솔음계라고 하지말고 도음계라고 명하자고 황준연교수가 한국음악 용어에 관한 학술회의(1993년 무렵 경기도 여주 라마다호텔)에서 주장하였고 백대웅교수를 비롯한 여러 교수님들이 이 주장을 수용하여 아리랑과 같이 도로 끝을 맺는 음악은 도음계, 창부타령과 같이 솔음으로 끝을 맺는 음악은 솔음계로 구분하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요컨대 선생님께서 우리나라 5음계(도음계)와 같다고 주장 하시려면 황, , , , 남 이라고 논리를 주장하셔야 옳다고 생각합니다. 가능하시면 정정을 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선생님의 명예와도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전북대학교 이화동 교수 제보)

     

    "소중한 글 공유 감사합니다. 기본적으로 동감 동의합니다. 음악적으로 이리 풀어주시니 감사하고 든든합니다.^^ 본문에 실수로 동백아가씨 연도를 1963이라 적으신 듯요. 이미지 설명에서는 맞게 1964로 적으셨습니다.”(단국대학교 장유정 교수 제보)

     

    세분 교수님께서 보내주신 의견에 심심한 감사를 드린다.

     

    사실 일반 대중들은 국악의 5음계인 황 태 중 () 임 남을 잘 모르고 생소할 뿐이다. 글을 쓰면서도 이 부분을 언급할지 고민 했지만, 이러한 기회를 통해서 한번 소개하는 것도 좋겠다고 생각했다. 음 구조보다는 음계 구성에 비중을 두어야겠다는 생각으로 일반 대중들이 조금이라도 귀에 익숙할 듯한 황 태 중 임 남을 쓰게 된 것이 결과적으로 실수가 되고 말았다. 필자의 명예를 위해서도 의견을 주신대로 황 태 고 임 남으로 바로 잡는다. 그렇게 하면 도 레 미 솔 라솔 라 도 레 미로 바꾸지 않아도 된다.

     

    위의 내용을 기준으로 국악의 7음계와 서양음악의 7음계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황 태 고 중 임 남 응 음이름(계이름)

    c d e f g a b - 음이름

    도 레 미 파 솔 라 시 - 계이름

     

    서양음악은 음이름과 계이름으로 나뉘어져 있다. 고정음인 음높이를 가리키는 음이름과 각종 조(調, Key)를 기초로 해서 음마다 다르게 부르는 계이름이 있다. 국악은 위와 같은 음이름을 계이름으로도 혼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계이름과 비슷한 구음(口音)이라고 있지만 전공 악기마다 음을 다르게 부르면서 서양음악의 계이름과 같은 구실을 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국악의 순정율인 음정과 서양음악의 평균율의 음정을 비교하는 것도 무리라고 보지만 정확한 음정보다는 비슷한 음높이로 이해하면 좋겠다. 기회가 되면 국악의 순정율인 12율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여 이해를 돕도록 하겠다. 아울러 현대의 오선보를 활용한 창작국악은 평균율에 근접하도록 창작하고 연주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tkzp.jpg
    고가 마사오가 작곡한 '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酒は涙か溜息か)는 1931년 9월에 일본 콜롬비아에서 후지야마 이치로(藤山一郎)의 가창에 의해서 음반으로 발매된다.

     

    다시, 미야꼬부시의 요나누끼와 관련한 이야기를 계속하겠다. 판소리와 남도민요의 음구성인 미 도 시 라 가 생략된 미야꼬부시인 요나누끼의 단음계인 미 도 시 라 와 비슷하다. 음계구조는 조금 다르지만. 특히 판소리와 남도민요의 음계인 미 도 라 미중에서 음은 음에서 꺾어서 내는 음으로, 일본의 미야꼬부시 음계의 음보다 더 많이 주음(主音)처럼 사용한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의 전통음악에는 꺾는 음이 없다.

     

    에서 꺾어내는 음은 흔들어주면서 슬픈 감정을 표현한다. 요나누끼의 대신 우리가 음을 사용하는 이유는 요나누끼의 는 슬픈 표현의 음인 반음의 효과만 있는 반면 국악에서 음을 사용하는 것은 그 음을 격렬하게 흔들어주기 위해서이다. 다시 말해서 요나누끼 스타일의 노래보다 훨씬 더 슬픈 감정을 표현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판소리와 남도민요의 음구성과 음악적 특징을 설명하는 이유는, 요나누끼의 단음계인 미 도 시 라 5음계는 일본 대중음악인 엔카만이 갖는 음계의 특징이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요나누끼의 5음계의 음조직으로 작곡된 노래라면 두말할 것 없이 엔카의 아류라고 주장한다. 대표적으로 오해를 받은 노래가 동백아가씨이다. 그래서 우리 국악의 전통음계와 비교해보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본 엔카의 대부라고 불리는 고가 마사오 작곡의 <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溜息)>한국의 전수린 작곡의 <고요한 장안>의 노래를 표절했다고 한다. 무슨 일이 있었는지 다음 회에 이야기해 보겠다.

     

    ※ 외부 필진 기고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경연대회

    경연대회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