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안성경서남잡가보존회, 안성 동리권번 제례 및 추모음악회

제6회 안성 동리권번 제례 및 추모음악회
안성향토무형문화재 제4호 '경서남 잡가' 보유자 조명숙
특별 공연, 공주 마곡사 범진스님의 범패 소리 헌정

기미양 객원기자
기사입력 2023.03.25 06:16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KakaoTalk_20230324_221400509.jpg
    안성경서남잡가보존회가 매년 안성 동리권번 제례 및 추모음악회를 열어오고 있다. 사진은 조명숙 보유자의 공연모습. 2023.03.12.

     

    안성경서남잡가보존회가 매년 안성 동리권번 제례 및 추모음악회를 열어오고 있다.

     

    지난 12일 안성문화원 앞에 있는 안성객사에서 작은 추모제가 열렸다.


    안성경서남잡가보존회 조명숙 회장은 1945년 안성에서 태어난 안성토박이 출신으로 안성권번 손음전 여사의 고명딸이고 '안성경서남잡가'(안성향토무형문화재 제4호) 예능보유자이다.


    안성경서남잡가 2대 손음전, 동생 손부영 여사 자매..jpg
    안성경서남잡가를 전승한 2대 손음전, 동생 손부영 여사 자매.(사진=안성경서남잡가보존회 조명숙 회장 제공)

     

    안성의 대표적인 권번은 '동리권번'과 '장기리권번'을 들 수 있다장기리 권번은 변매화·이봉선동리권번은 손음전·송계화·고비연·강연화 등이 안성기예조합원에서 활동했다고 전해진다


    조명숙 회장은 "안성의 가무악 기생들은 궁중 행사에 동원되어 한양까지 높은 기예를 펼쳤고, 30-40년대 경성방송국에 출연도 했다. 당시 안성권번들은 안성바우덕이 남사당만큼 유명세를 탔다. 우리 어머니(손음전)도 가무악에 능한 명기로 안성은 물론 평택에서 공주.천안.이천 용인 여주까지 이름을 떨쳤다. 당시 경남철도 안성선 기차를 타고 다니셨다. 나도 손을 잡고 따라가서 무대에 서곤 했다." 며 "특히 경기민요 경서도잡가, 시조창에 능하셔서 인근 지역에서 어머니에게 배우러 안성까지 왔다"라고 밝혔다.


    이어 '당시 우리 어머니에게 너무나 밀려오는 수강생을 감당하기 힘들어서 평택으로 이사를 가기도 했고, 나중에는 안성 봉남동에 간판도 없는 소리학원을 열었다"고 전했다.


    안성경서남잡가보존회에 의하면 "안성경서남잡가 계보는 1대 송계화·고비연·강연화, 2대 손음전, 3대 손음전의 고명딸 조명숙 순으로 이어져 왔고 현재는 4대 서명주가 사사받고 있다"고 전한다


    KakaoTalk_20230325_060330360.jpg
    제례식에서 범진스님이 범패 소리를 헌정곡으로 바쳤다. 2023.03.12.

     

    이날 공주 마곡사에서 온 범진스님이 특별 공연으로 범패소리를 헌정했다.

     

    절에서 주로 재(齋)를 올릴 때 부르는 소리이며, 가곡·판소리와 더불어 우리 나라 3대 성악곡 중의 하나이다. 부처님 공덕을 찬양하는 노래로 서양의 성가곡과 대비된다. 


    범패소리로 유명한 범진스님은 "삼일운동 당시 맨 앞에서 태극기를 흔들며 일제의 민족말살 정책에 저항하다가 아름없이 산화하신 권번출신 기생들이 한 둘이 아니다. 독립운동자금도 보내고,..... 우리가 이제는 인식을 새로이 해야한다. 당시 기생은 전문예인 집단으로 시서화에도 능한 예술가이었다. 특히 권번출신 가수들은 지금으로 치면 트롯트 퀸이다. K-한류의 뿌리이다. 항일운동사에서 당시 기생들은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하는 역사의 기억이다. 내년에도 함께할 예정이다."이라고 전했다.


    KakaoTalk_20230324_221532016.jpg
    안성동리권번 제례식에 모신 분들은 안성권번 변매화(1900년생), 고비연(1900년생), 이봉선(1901년생), 강연화(1903년생), 송계화(1894년생)이다.

     

    조명숙 회장은 학교 공부보다는 소리가 좋아서 어머니한테 소리 배우는 데 열중했다. 학교에서도 어린 소리꾼으로 유명했다. 


    조회장은 "17세에 어머니의 권유로 서울로 올라가서 명창의 길을 걸어라고 하셔서 현 국가무형문화재 제19호 선소리 산타령 예능보유자인 최창남선생한테 3년 정도 배웠다. 그런데 경기민요는 귀에 익은 소리가 아니어서 망서리는데, 안비취 언니가 너는 어머니 소리를 이어가는 편이 나을 것 같다는 권유를 받고 안성으로 내려왔다. 그 길로 어머니의 소리와 춤, 가무악을 배웠다." 이어 "당시 국보급 이창배, 안비취, 묵계월, 이은주 명인 등 선배들의 국악활동을 가까이서 지켜 볼 수 있었다"고 전한다.


    조회장은 3년간 서울생활을 접고 내려와서 안성 고향땅에서 어머니에 이어 안성경서남잡가를 이어가게 되었다고 한다.

     

    매년 이 행사에 참가하는 안성시 전 이영찬 시의원은 "앞으로 우리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안성시 문화유산을 복원하고 지원을 해야한다. 지역 문화가 살아야지방 소멸을 막는다."고 전했다. 


    내년 제례식에서는 다른 지역과 연계해서 안성권번의 존재와 안성경서남잡가를 널리 알리겠다고 다짐했다.


    KakaoTalk_20230324_221455576.jpg
    제례식 및 추모음악회를 마치고 기념촬영. 2023.03.12.

     


    경연대회

    경연대회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