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대통령상] 제19회 전국국악대전 7월 3~4일

편집부
기사입력 2021.05.14 13:11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국악대전.jpg

     

    ■ 대회목적

    국악예술인들의 축제이자 잔치이며 국악인들의 높은 정신을 받들어 혼과 열정을 쏟는 국악인들의 종합대회로 위상을 알리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자리매김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음.


    ■ 일시 및 장소 : 2021년 7월 3일(토) ~ 4일(일), 창덕궁 소극장  

    구분

    날짜

    시간

    장소

    예선

    본선

    2021. 7. 3(토)

    09:00 ~ 18:00

    창덕궁 소극장

    (비대면 영상심사)

    결선

    시상

    2021. 7. 4(일)

     

    오후 2시 - 오후 3시 30분

    창덕궁 소극장

    오후 4시 ~

    창덕궁 소극장

    ■ 주      최 : (사)한국국악협회

    ■ 주      관 : (사)한국국악협회

    ■ 후      원 : 문화체육관광부, (재)국악방송, (사)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 종로구청, 국악신문, 국악디지털신문


    ■ 경연부문

    가야금병창·판소리, 고법, 기악, 농악, 전통무용, 민요·정가


    ■ 참가자격

    - 대한민국 국민으로 만19세 이상의 남 · 여(외국인 포함)

    - 1인 1부분 참가에 한함 / 대통령수상자 및 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 제외


    ■ 경연방법

    - 경연은 예선 본선은 동영상 심사

    - 경연방법 : 예선 · 본선 · 종합결선 실시

    - 경연순서 : 예선·본선(동영상심사) - 결선 대면 심사

    - 반주자는 개별수행을 원칙으로 함.

    - 반주(고수) 없는 참가자는 주최 측 지정 반주 도움 가능(고수비 없음)

    - 과제곡 (가야금병창·판소리, 고법, 민요·정가는 예선곡과 결선곡이 상이해야 함) 

    가야금병창

    /판소리

    - 예선·본선<가야금병창-단가, 판소리 중 자유택일(경연시간 10분 이내)>

     <판소리-판소리 다섯 바탕 중 자유택일(경연시간 10분 이내)>

    - 결선 : 판소리 다섯 바탕 중 자유택일 (예선 곡 제외,10분이내)>

    고   법

    예선·본선(영상제출) -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포함(경연시간 10분 이내)

    - 결선(대면경연) - 자진모리, 엇모리, 휘모리 포함(경연시간 10분 이내, 창자 대동)

    기   악

    - 예선 · 본선 산조(경연시간 10분 이내)

    농   악

    - 개인놀이(쇠, 장구, 채상소고, 고깔소고, 북) (경연시간 10분 이내)

    전통무용

    - 예선 · 본선 : 한국전통무용 중 택일 (경연시간 10분 이내)

    민요,정가

    - 예선 · 본선 자유곡(잡가 또는 입창 /경연시간 10분 이내)

                    

    ■ 동영상 파일 제출 요령

    - 연주복장 - 한복착용

    - 동일한 조건의 평가를 위해 휴대폰으로 촬영 및 녹음

       mp4 파일(마이크 및 필터 사용 불가)

    - A4용지에 참가 대회명과 촬영일을 크게 작성하여 첫 화면에 제시한 이후 녹화 시작

       예시) 제19회 전국국악대전 ㅇㅇ부문 / 2021년 6월 10일(녹화일)

    - 본인의 정면에 거치대를 고정하여 전신 촬영, 반주자는 영상 안에 노출 금지

       고수 / 추임새 및 소리 방해 금지

    - 본인 소개 금지 및 인사 생략

    - 화질과 음질은 심사가 가능할 정도의 소음이 없고 밝은 공간(실내) 촬영 권장

    - 타 대회 제출 영상 및 과거 공연 영상 불가

    - 영상 편집 및 사운드 조절 등 2차 가공 불가

    - 파일명 : 제19회 전국국악대전_참가부문_경연자명


    ■ 참가신청

    ▪ 접수기간 : 2021년 6월 1일(화) ~ 30일(수) 18:00

    ▪ 접수방법 : 이메일, 구글폼

    ▪ 제출서류 : 참가신청서(반명함판 사진 부착), 주민등록증(또는 운전면허증, 여권) 사본


    ▪ 접수처 : (사)한국국악협회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돈화문로67 아세아빌딩 301호 [우03132]

    전화 : 02-744-8051

    - 이메일 : koreatm1010@naver.com

    - 구글폼 : forms.gle/NM71AoHcFJL3mrm97

    ※ 6월 28일 도착분에 한함 / 접수 후 입금, 확인 전화


    ▪ 참 가 비 : 50,000원 / 우리은행 1005-503-985582 예금주 (사)한국국악협회

    ※ 접수완료 후 취소 시 환불되지 않음

    ※ ‘참가자명 부문명’으로 입금. 예) 홍길동 기악

    ※ 참가비 입금확인 후 대회 접수 완료(접수완료 후 주최 측에 확인 요)


    ■ 심사요강

    ▪ 심사위원 결정방법 및 절차

    - 신청서 접수 마감 후 심사위원 선정 심사 규정에 따른 인사로 지역별 선정.

    - 전국 대학교수, 문화재 급 인사 및 중견 국악인 중 전공별, 류파별 선정.


    ▪ 심사기준

    - 예선 : 최저 90점, 최고 99점으로 상·하한점수 규정

    - 본선 : 최저 95점, 최고 99점으로 상·하한점수 규정

    - 배점 : 각 부문별 심사항목 참고

    - 가사실수 또는 악기 이상 등 정상으로 경연을 완료하지 못할 경우 실격

    - 심사위원 타종 전 연주 멈출시 실격


    ▪ 심사절차

    - 경연 전, 대회운영규정 및 심사요령, 심사회피제도 설명

    - 각 부문별 심사위원장 선정, 경연시간 등 결정

    - 각 부문별 경연 종료 후 심사위원장 심사평 실시

    - 각 부문별 경연 종료 직후 심사위원별 점수 짐계표 게시

     (금년 예선경연 방식은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온라인으로 대체함.)


    ▪ 심사항목  

    가야금병창·판소리 부문

    공력(30%)

    음정(40%)

    박자(20%)

    무대매너(10%)

    고법부문

    공력(30%) + 박자(30%)

    가락(20%)

    추임새(10%)

    무대매너(10%)

    기악부문

    공력(20%)

    음정(40%)

    박자(30%)

    무대매너(10%)

    농악부문

    감정(40%)

    기능(30%)

    안무(15%)

    음악무대(15%)

    전통무용부문

    감정(40%)

    기능(30%)

    안무(15%)

    음악무대(15%)

    민요,정가부문

    공력(30%)

    음정(40%)

    박자(20%)

    무대매너(10%)

      

    ▪ 수상자 결정방법

    - 예선 : 각 심사위원의 점수를 합하여 가장 높은 점수부터 5명 본선 진출

    - 본선 : 각 심사위원의 점수를 합하여 높은 점수가 최우수상

    - 동점일 경우 연장자 우선.


    ■ 수상자 사후관리계획

    - 협회 주관 각종 대회 시 심사 및 축하공연 기회 제공

    - 유관단체 행사시 참여 추천

    - 대외 공연 문의 시 공연기회 부여


    ■ 참고사항

    - 결선 경연에 필요한 악기 및 반주자는 참가자가 준비

       예) 무용:반주음악(USB) / 민요:장구 반주자

     - 고법 부문은 본인이 직접 창자 대동(결선 진행시)

     - 결격사유가 발생 시 입상 자격을 취소할 수 있음


    ■ 시상내역  

    구 분

    내 용

    시상품격

    시 상 금

    인원

    종 합 대 상

    대통령상

    3,000,000

    1

    종합최우수상

    국무총리상

    1,000,000

    1

    가야금병창

    판소리

    최우수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300,000

    1

    우 수 상

    종로구청장상

    200,000

    1

    준우수상

    (사)한국국악협회이사장상

    -

    1

    장 려 상

    창악분과 위원장상

    -

    2

     고  법

    최우수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300,000

    1

    우 수 상

    종로구청장상

    200,000

    1

    준우수상

    (사)한국국악협회이사장상

    -

    1

    장 려 상

    고수분과위원장상

    -

    2

    기  악

    최우수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300,000

    1

    우 수 상

    종로구청장상

    200,000

    1

    준우수상

    (사)한국국악협회이사장상

    -

    1

    장 려 상

    기악분과위원장상

    -

    2

    농  악

    최우수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300,000

    1

    우 수 상

    종로구청장상

    200,000

    1

    준우수상

    (사)한국국악협회이사장상

    -

    1

    장 려 상

    농악분과위원장상

    -

    2

    전통무용

    최우수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300,000

    1

    우 수 상

    종로구청장상

    200,000

    1

    준우수상

    (사)한국국악협회이사장상

    -

    1

    장 려 상

    무용분과위원장상

    -

    2

    민요·정가

    최우수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300,000

    1

    우 수 상

    종로구청장상

    200,000

    1

    준우수상

    (사)한국국악협회이사장상

    -

    1

    장 려 상

    민요·시조 분과위원장상

    -

    2

     

     

    * 2021-06-29 17:0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20210422155905_1d18a0559adcf2c41860e6830c329eab_slei.jpg

    경연대회

    경연대회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