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2 (일)

한민족음악총서10: 북한의 민족음악이론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민족음악총서10: 북한의 민족음악이론

  • 편집부
  • 등록 2020.07.22 07:05
  • 조회수 329

김리화·김영운·문주석·박영춘·배인교·신광호·신호한민족음악총서10: 북한의 민족음악이론서울국립국악원, 2020.

 머리말 ․ 005

 1. 남북한 전통음악 선법이론의 비교 김영운 _ 9

머리말

분단 이후 남한의 민요선법 연구

분단 이후 북한의 민요조식 연구

맺음말남북한 민요 음조직론의 비교

 

2. 북한과 중국의 민요조식 비교 박영춘·신호 _ 71

머리말

조선민족 조식이론의 발전맥락 개관

북한 민요조식의 형성원리와 체계

중국 민요조식의 형성원리와 체계

북한 민요조식과 중국 5성조식 간의 비교

맺음말

 

3. 북한의 장단론 연구 문주석 _ 129

머리말

시기별 북한 장단론의 변화양상

북한 장단의 종류 및 특징

맺음말

 

4. 북한 민족화성의 구성원리와 응용 박영춘 _ 173

머리말

민요 5음계조식에 기초한 다성구성의 기본원리

북한 민족화성의 응용 실제

맺음말

 

5. ‘조선’(북한성악이론의 민족음악적 특징 신광호 _ 223

머리말

조선(북한민족성악의 이해

일반 성악이론

민족성악 이론

맺음말

 

6. 1950~60년대 북한의 민족 악기 개량과 민족 관현악 편성 배인교 _ 245

머리말새로운 조선과 새로운 민족 관현악

민족 악기 개량

민족 관현악 편성

맺음말조선식 기악 음악 창작의 길로

 

7. 음악무용서사시에 나타난 조선’(북한)의 민족음악양식 김리화 _ 71

머리말냉전체제하의 새로운 음악예술공연

음악무용서사시의 실제와 작품구성

민족음악 양식과 특징

현대적 민족음악 창조의 과정과 그 배경

맺음말

 

지은이 소개 ․ 311



첨부파일 아래 다운로드를 클릭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