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9 (목)

[김연갑의 애국가 연구] (28) 윤치호 역술 ‘찬미가’의 가치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연갑의 애국가 연구] (28) 윤치호 역술 ‘찬미가’의 가치

  • 특집부
  • 등록 2023.11.29 20:00
  • 조회수 20,043


‘찬미가’는 1908년 6월 광학서포의 활자본으로 발행한 찬송가집이다. 윤치호는 12편을 번역하고, 3편을 창작하여 번역과 편찬까지 하여 발행하였다. 평신도로서 활동하는 윤치호의 신념대로 실용성을 중시하여 소박하게 서문도, 목차도 없이, 소규모 책자로 만들어 2전5리 염가로 판매하였다. 찬송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려는 가장 아름답고 선한 길 중의 하나다.”라고 하여 신앙에서 매우 중요하다. 윤치호는 신앙고백에서 확인이 되듯이 충실한 기독교인이다. 깊은 신앙심과 애국심에 의해 역술하여 발행한 찬송가집이다.

 

"상오 10시에 삼가 세례를 받다. 이날 하늘은 맑고 날씨는 따뜻한데 바람도 잔잔하고 구름도 걷히어 근일에 제일 좋은 날씨이다. 이날부터 나는 삼가 교(敎)를 받들고 주(主) 믿을 것을 맹세하였으니 가히 일생에 있어 제일 큰 날이라 하겠다.”

   

1887년 4월 3일 보낼 목사로부터 세례(洗禮)를 받았다. 이날 일기에 남긴 신앙고백이다. 이러한 절실함에서 최초의 한국인 편찬 찬송가집을 발행할 수 있고, 애국적 찬송가 3편을 작사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제 윤치호 역술 ‘찬미가’의 가치를 살펴보기로 한다.

 

첫 째 가치는 현 애국가를 제14장에 수록했다는 사실이다. 그동안 1980년대부터 2000대에 이르는 기간 서지학자이며 순흥안씨 후손인 안춘근 교수에 의해 ‘애국가류’ 필사 자료 3종 공개를 통해 1907년 이전에 유사한 ‘애국가’가 존재하여 ‘자필 가사지’의 "1907년 윤치호 작”이란 기록은 문제가 있다고 논의된 바 있다. 이 세 가지 자료를 근거로 SBS <그것이 알고 싶다>라는 프로그램이 제작되었는데, 이를 계기로 세 가지 자료를 객관적으로 검증 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오히려 조작된 자료임이 확인되었다. 결국 1907년 이전에 현 애국가 가사와 유사한 것이 없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로서 윤치호가 1907년 작사한 것이 사실이며, 이를 최초로 ‘찬미가’에 수록하였다는 가치를 지니게 된 것이다.

 

다음 두 번째 가치는 윤치호의 충군애국적 신앙이 그대로 담긴 출판물이란 점이다. 당시 기독교의 신앙 목표가 구국과 독립임을 입증하는 것인데, 3편의 창작 ‘애국적 찬송가’의 각 명명(命名)에서 확인된다. 이는 한국 찬송가 연구사에서 3편의 곡명을 명명한 것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이에 대한 첫 연구 결과는 민경배의 ‘한국교회 찬송가사’(韓國敎會 讚頌歌史)에서는 제1장을 ‘皇帝頌’, 제10장을 愛國頌, 제14장은 ‘愛國歌’라고 규정한 것이다. 제1장은 1897년 고종황제의 칭제건원(稱帝建元)을 기점으로 대한제국의 발전을 기원하는 내용을 근거로 하였다. 제10장은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조국의 독립부강을 기원한 내용에 근거한 명명이다. 제14장은 1919년 3. 1운동까지 수많은 애국적 노래 중에 대표적인 애국가로 민중의 지지를 받은 사실에 따른 것이다.

 

 

세 번째 가치는 한국 찬송가 역사에서 갖는 것으로, ‘찬미가’가 한국인에 의해 편찬된 최초의 찬송가집이라는 점이다. 개신교 선교사의 한국선교 13년만의 일이다. 이 기간에 3종의 찬송가집이 발행되어 사용되었다.

 

① 1892년 미국 감리교 선교사 존스(G. A Jones)가 27편의 무곡(無曲) 가사를 수록하여 펀찬 한 우리나라 최초의 감리교 ‘찬미가’

② 1894년 117편의 찬송가를 4성부 악보로 표기한 언더우드(H. G. Underwood) 편찬의 장로 교 복음찬송 ‘찬양가’

③ 1895년 북장로교 선교사 그레한 리(G. Lee)가 편찬하여 58편의 악보 찬송을 발행한 장로 교 번역 ‘찬셩시’

 

이상의 세 가지가 모두 외국 선교사에 의해 편찬, 발행되었다. 여기에는 한국인에 의해 작사된 찬송가는 ‘찬성시’에 단 1편이 수록되었을 뿐이다. 이런 사실에서 윤치호 역술 ‘찬미가’는 을사늑약으로 기독교가 항일성향으로 가는 것을 우려하여 공식적인 찬송가집으로 채택하지는 않았지만 이후 한국 찬송가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첬다. 당연히 서양 선교사들이 "한국 교회 내의 서정시인(敍情詩人)이 나올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했듯이 윤치호 같은 "계관 시인”이 등장함으로서 가능한 것이었다.

 

윤치호는 기독교가 가진 현실적인 힘, 일을 해 낼 수 있는 기독교, 현실을 변혁시킬 수 있는 기독교, 살아있는 기독교로 인식하였다. 애국과 충군의 열기로 충만한 시기에 교회와 민족의식을 구조적으로 동일시한 세례 교인으로서, 가사를 짖고, 보편적인 곡을 붙여 출판물로 보급할 수 있는 인물이 윤치호를 제하고 없었다는 것이 된다.

 

네 번째는 세 작품에 부곡된 두 곡조를 역사성과 민중성을 담보한 것으로 채택하였다는 점이다. 제1장 의 곡명(Tune Name) ‘AMERICA’는 세계 찬송가나 영미의 음악상황을 고려하여 택했다는 것이 된다. 이 곡은 영국의 국가(國歌) 곡조이다. 1740년에 발행된 ‘Saurus Musicus’에 수록되었는데, 이를 채택하여 ‘God savr our glrious King(Queen)의 곡조로 썼다. 또한 미국의 사무엘 스미스(S. Smith)가 지은 애국시 ’My country, tis of thee’(‘나의 조국, 주님의 나라’)에 붙여져 미국인들이 가장 애창하는 애국가요가 되게 했다. 이와 함께 덴마크, 러시아, 독일 등에서도 애국적인 가사에 부곡되어 널리 불렸다.

 

화면 캡처 2023-11-29 200924.jpg

 

 

바로 이 곡의 세계성과 애국적 성격을 인식하고 대한제국 황제의 만세와 국가의 독립 부강을 기원하는 가사의 곡조로 택한 것이다. 동시에 대한제국의 위상을 의미상 영국과 미국에 견준 것이기도 하다. 다음 제10장과 14장의 곡조 ‘AULD LANG SYNE’도 특징이 있다. 즉 단순하면서도 호소력이 있는 멜로디 진행으로 4.5도 도약진행과 동음을 반복하여 민중들에게 쉽게 받아드릴 수 있는 곡을 택하였다는 것이다. 이 곡이 처음 알려진 것은 영국의 음악가 쉴드(W. Shield, 1748~1829)가 스코틀랜드 구전민요인 이 곡을 오페라 ‘Rosina’에 서곡으로 사용하여 널리 알려지게 했다. 그런데 이 곡은 5음 음계를 사용한 선율로 우리 국악 체계(오음선율임)와 맞는다. 곧 민중성과 보편성을 갖는 곡으로, 이를 윤치호가 채택하여 두 노래를 널리 보급시킬 수 있었다. 윤치호의 높은 식견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다섯 번째는 12편 번역이 뛰어나다는 특징이 있다. 이것들은 모두 이미 발행한 세 가지 찬송가집에 수록된 것들로서, 윤치호는 이를 모두 새로 번역하여 수록하였다. 그런데 이 영미 양국 고전시와 낭만시 계열 12편의 번역이 기존 번역과 비교할 때 매우 뛰어나다는 것이다. 1897년 5월 3일자 일기에서 이 시기 불리는 찬송가의 번역에 대해 불만을 표현한 바 있다. 작사자의 뜻에서 멀게, 또는 지나치게 의역을 한 경우를 들았다.

 

"지금 사용되고 있는 한국말 찬송가들은 이로 말할 수 없이 그 번역이 미약해 부끄럽다”

   

찬송가학계에서 비교 분석한 결과로는 ‘찬미가 12편 번역은 "원문에 충실하고 세련되게 번역하여 시적(詩的)이게 했다”고 밝혔다. 이런 탁월한 번역으로 ’절대의존 고백찬송‘ 4편, 애국적 찬미가’ 3편, ‘선교에 대한 사명찬송’ 3편, 행군적 찬송 2편, ‘찬양과 예배의 찬송’ 2편, ‘성도의 교제 찬송’ 1편을 선명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결과적으로 ‘찬미가’는 민족교회로서의 틀을 갖춘 반일과 충군애국의 교회 시대에 윤치호의 애국적 신앙을 반영한 찬송가집으로서 가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