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0 (금)

[이병옥 연구노트] (1) 국가무형문화재 제49호 '송파산대놀이'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병옥 연구노트] (1) 국가무형문화재 제49호 '송파산대놀이'

이병옥(용인대 명예교수 ‘송파산대놀이’ 명예보유자)

  • 특집부
  • 등록 2023.03.19 11:24
  • 조회수 14,473

‘송파산대놀이’ 명예보유자 이병옥 교수는 서울대학교 무용교육학을 전공했으며,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원장을 역임했다. 교육부장관상과 무용문화재예술단 공로상 등을 수상한 바 있는 그는 ‘한국 무용민속학’ ‘무용인류학 탐구’ ‘한국고대무용사 연구’ 등 저서 30여 권을 출간했고, 지난 40년간 500여회의 송파민속공연을 기획·출연했다. 현재 한국춤비평가협회 공동대표이자 춤비평가로 활동하고 있다. 

 

이병옥 2019.jpg
이병옥(용인대 명예교수 ‘송파산대놀이’ 명예보유자)

 

송파산대놀이는 약250여 년 전부터 송파진(현재 잠실 석촌호수 남쪽 주변당시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 한강줄기)에 서던 송파장을 중심으로 연희되어온 산대탈놀음이다. 1973년 11월 국가무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었다.


산대놀이(山臺戱)는 구파발, 애오개(阿峴), 사직, 녹번, 노들(露梁津) 등지에 전승되었으나 모두 소멸되었다. 현재는 경기도 양주와 서울의 송파지역만이 전승되어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퇴계원산대놀이가 경기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022한국의 탈춤’ 18종이 유네스코 인류뮤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송파진은 전국 15대 향시(鄕市) 중의 으뜸인 상역지로 강원도의 뗏목상인과 삼남지역의 마행상과 보부상들이 몰려들어 270여개의 객주집이 성행한 장터였다. 연희 시기는 정월대보름, 단오, 백중, 한가위 등의 명절에 세시놀이로 행해졌는데, 특히 백중 명절에는 각 지방의 명연희자들을 초청하여 1주일씩 탈놀음을 하면서 매일장이 서다보니 5일장의 풍습을 해친다는 상소(영조~순조대, 18~19세기)를 수차례 올렸지만 백성들의 생업(生業)이라 하여 윤허(允許)되었다.

 

부자상인들이 추렴하여 풍물로 시작하여 씨름 붙이고(씨름대회), 민요 부르고줄 걸고(줄타기), 저녁에 횃불을 밝혀 산대놀이를 벌이면서 장이 어우러지게 했다고도 전한다.


연희형태는 춤이 주가 되고 시대상을 풍자하는 재담과 창 등 여러 가지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다반주음악은 삼현육각(三絃六角장구피리2, 대금해금)의 악기구성으로 염불 12타령굿거리장단이 주가 되며당악자진타령자진모리휘모리장단 등이 쓰인다춤사위로는 염불 거드름춤타령 깨끼춤굿거리 건드렁춤 유형으로 나뉘며, 40여종의 춤사위로 세분화되어 있다.


송파산대 취발이 이병옥 (3)해산어멈, 소무.jpg
송파산대놀이 취발이(이병옥), 해산어멈, (사진=이병옥 교수 제공).


마당구성은 탈놀음 12마당이 그대로 전승되고 있으며, 탈의 수도 32개로 산대도감 탈들이 거의 보존되어 있어 비교적 고형을 보존하고 있다. 연희 순서는 먼저 산대놀이 기를 앞세우고 풍물을 치며 탈춤을 추면서 길놀이로 마을과 장터를 돌아와 탈을 벗어 고사상 앞에 놓고 탈고사를 지낸 다음 12마당을 진행한다.


첫째마당: 상좌춤놀이/ 둘째마당: 옴중놀이/ 셋째마당: 연닢·눈끔재기놀이, 넷째마당: 애사당북놀이/ 다섯째마당: 곤장놀이/ 여섯째마당: 침놀이/ 일곱째마당: 노장놀이/ 여덟째마당: 신장수놀이/ 아홉째마당: 취발이놀이/ 열째마당: 말뚝이놀이/ 열한째마당: 샌님·미얄·포도부장놀이/ 열두째마당: 신할애비·신할미놀이(이병옥, 해설 자료에서)

 

이병옥 (용인대학교 명예교수)

* 1979~1981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학과 석사

* 1981~1983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학과 석사

* 1989~1993 : 경기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학위 취득

 

송파산대놀이보존회 전승활동 연보 

* 1973. 8- : 송파산대놀이 교사강습으로 입문

* 1974. 4 - : 송파산대놀이 회원 입회

* 1976. 8 - 80.12.30 : 송파산대놀이 전수장학생

* 1978.2 - : 송파산대놀이 보존회 총무

* 1980.12.30- : 송파산대놀이 이수자

* 1981.4.1 - 89.12 : 송파산대놀이 전수교육조교 선정

* 1978. 10 - : 19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송파산대놀이 연출지도

* 1978. - : 송파산대놀이 연희본 1완성

* 1980. 8 - : 송파산대놀이 연희본 2완성

* 1980. 9 - : 산대놀이 춤사위 연구, 민속학회, 한국민속학 13

* 1981. 9 - : 송파산대놀이의 옛 놀이판과 배경.민속학회, 한국민속학 14

* 1981. 10 - : 22회 전국민속예술 경연대회 서울특별시 출품작

                  ‘송파산대놀이연출지도(문공부 장관상 수상)

* 1982. 10 - : 저서 "송파산대놀이 연구" 출간(집문당)

* 1986. 3 - 87. 2 : 송파산대놀이 보존회 상무이사

* 1993. 9 - : 송파와 양주 산대놀이 춤사위 비교연구, 용인대 논문집 9

* 1994.12 - 96.12. : 서울시무형문화재3호 송파다리밟기 보유자후보역임

* 1995. 1 - : 송파백중놀이발굴조사보고서, 한국예총 서울시지회

* 1994. 3 10.2 : 사단법인 송파민속 보존회 부이사장(부회장)

* !997. 12 - : 송파산대탈춤 중 "깨끼춤에 함유된 동작미 분석,

* 2000. 8.22- 22.6 : 송파산대놀이 전수교육보조자 재선정

* 2006. 1 - : 송파산대놀이집필, 국립문화재연구소, 도서출판 피아

* 2010. 3 2016.4 : (사) '국가무형문화재 49호 송파산대놀이보존회 회장

* 2016. 3 2023.3 : (사) '국가무형문화재 송파산대놀이보존회' 회장(문화재청 등록)

* 2023. 7 종 신 : 국가무형문화재 '송파산대놀이' 명예보유자

* 2010 2022 : ) 송파민속보존회 이사장

 

<대표저서>( 29, 공동집필 35)

1982. 송파산대놀이 연구, 집문당.

1991. 북한의 공연예술 <무용. 음악 편>, 고려원(3인 공저).

1996. 한국무용사 연구<고대편>, 도서출판 노리.

1998. 승무, 국립문화재연구소.

1998. 살풀이춤,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중요무형문화재<무용과 음악>, 대원사(2인 공저).

2002. 안성향당무, 용인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04. 무용인류학 탐구, 도서출판 노리.

2006.송파산대놀이, 국립문화재연구소편, 도서출판 피아.

2006. 이병옥 무용평론집{춤따라 세월따라}, 도서출판 노리.

2006.승무의 기원전승과 지역유파 연구, 도서출판 노리.

2008.살풀이춤 류파와 계통연구, 도서출판 노리.

2008. Korean Folk Dance", 한국국제교류재단.

2011.국무 우봉 이매방, 금풍문화사(2인 공저).

2013.한국무용통사고대편, 민속원.

2014.Dance of Korean(영문판), 국립국악원 한국음악학 씨리즈 6(9인 공저).

2014.진주교방과 민간전승의 예술 연구, 진주문화연구소(6인 공저).

2015. 전통춤의 흐름과 전승현황, 한국전통춤협회(3인 공저)

2019.전통춤 4대 명무(한영숙, 강선영, 김숙자, 이매방), 한국전통춤협회(5인 공저), 민속원.

2019, 이동안 선생의 예술세계, 화성문화원(5인공저)

2020. 송파산대놀이 연행과 기원, 송파산대놀이보존회(단독 집필)

2020. 경기재인청 복원과 활용을 위한 연구, 오산문화원(6인 공저)

2021. 자유로운 영혼의 춤꾼, 송화영", 도서출판 지식나무(2인 공저)

2021. 제주 제8호 제주해녀춤·물허벅춤 예능보유자 이연심", 제주원로예술인 구술채록, 제주문화예술재단

 

기타 연구논문 80여 편, 학술발표 50여 편, 비평논단30여 편, 비평리뷰 170여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