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8 (수)

[특별기고] 세계유산 도산서원의 품격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별기고] 세계유산 도산서원의 품격

서수용/한국고문헌연구소 소장

  • 특집부
  • 등록 2023.03.16 11:51
  • 조회수 5,858

세계유산으로까지 지정된 안동 도산서원(陶山書院)을 찾은 게 몇 번쯤 될까? 손으로 꼽을 수조차 없을 정도다.

 

그러함에도 첫 번째 봉심(奉尋)만은 지금까지 생생하게 기억된다. 1980년 추향(秋享)이었는데, 초헌관(初獻官)으로는 퇴계 선생의 직손(直孫)인 백주(白洲) 이원윤(李源胤) (), 상례(相禮)는 도산(陶山) 하계(下溪) 출신인 이윤항(李潤恒) ()이었다. 진행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초성까지 참 좋았던 어른이었다.


안동대학교 한문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이었던 필자는 어떤 계기에서였는지는 모르나, 그 경건한 도산서원 향사에 학생신분으로 참사(參祀)하게 되었다. 같이 간 이로는, 고등학교 5년 선배인 권혁윤(전 안동과학대 교수), 한 해 선배인 박명철(전 고등학교 국어교사), 한 해 후배로 현재 안동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임 중인 이성규 박사였다. 그때가 벌써 43년 전 일이다.

   

KakaoTalk_20230316_115631284.jpg
도서서원 앞 매화가 막 개화한 모습 (사진=한국고문헌연구소 ).2023.03.12.

 

2023년 3월 12일 일요일도산서원에도 매화가 피었겠지싶어서 귀경을 잠시 미룬 채 서원으로 차를 몰았다혼자 도산탐매(陶山探梅)’에 나선 셈이다예상대로 매화는 막 피기 시작했다도산서당(陶山書堂옆에 조성된 매화원은 물론 역락서재(亦樂書齋앞의 노거수(老巨樹)에도 어김없이 꽃은 피었다. ‘산다는 것은 꽃 소식을 듣는 일이라더니와서 보니 참 잘 왔다였다.

 

퇴계 선생께서 남긴 "문 닫은 채 솔바람 듣고(松風關院聽), 눈 속 매화를 화로 낀 채 바라보네(梅雪擁爐看)”라는 선생의 싯구가 떠올랐다아직은 쌀쌀한 봄날아랫목이 그리울 때인지라도산서당 완락재(玩樂齋)의 아담한 방으로 시선이 옮겨졌다선생께서 계셨다면 문을 열고 이렇게 막 핀 매화를 바라보고 계시지 않았을까 생각했다. ‘매설(梅雪)’은 눈을 맞은 채 핀 설중매(雪中梅)일 텐데그것을 그냥 보는 게 아니라 옹로(擁爐)’ 즉 화로를 낀 채 본다는 표현은 신의 도움까지 받은 게 아닐까 싶었다숙종 때 이조판서에다 15년간 대제학까지 지냈던 옥오재(玉吾齋송상기(宋相琦, 1657-1723)가 퇴계시 가운데 더욱 맛을 느꼈다는 시이기도 하다.

 

KakaoTalk_20230316_095524279_04.jpg
회암서절요 (사진=한국고문헌연구소 ).2023.03.12.

 

이처럼 상쾌한 기분을 품고 선생의 유품을 전시한 옥진각(玉振閣)으로 걸음을 옮겼다늘 보아도 감명 깊었던 지극히 소박한 서기(書丌冊床)와 아울러 정교하기 이를 데 없는 매화연(梅花硯)과 매화등(梅花燈)이 여전히 그 자리에 놓여있었다이들 기물(器物)을 보는 것만으로도 선생을 뵙는 듯한 느낌이었다.


여유가 있어 시선을 다른 자료들로 옮겼다복제품들로 전시장의 대부분이 채워져 있었다사연이야 있겠지만아쉬운 감이 없지 않았다.

 

자연스럽게 진품(眞品)들에 눈길이 더 갔다. 영문으로 번역까지 된 안내문을 가만히 읽게 되었다. 퇴계 선생께서 편집해 조선 선비들의 필독서가 되었던 회암서절요(晦菴書節要)’가 펼쳐져 있었다. 그 책 첫째 장 하단(下段)도산서원(陶山書院) ()’이라는 묵서(墨書)가 되어있는 것으로 보아 도산서원 광명실(光明室)에 소장된 책 가운데 한권 임이 분명했다. 그런데 이를 소개한 안내문에는 "1561년 문인 황준양(黃俊良)에 의해 간행된 목활자본 158책이다.”라고 되어있었다


문제는 황준양이라는 표기다. 혹시 싶어 황금계(黃錦溪) 종손에게 확인해보니 그렇게 쓴 예는 없다고 했다. 오식(誤植)이다. 이어진 "선생의 수택본으로 곳곳에 비점(批點)과 주기(註記)가 있다는 부분은 일견 완전해 보이지만, 첫째 장 상단에 주묵(朱墨)으로 주서(註書)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주기(註記)’주기(朱記)’가 바른 표기일 듯하다.

 

KakaoTalk_20230316_095524279_03.jpg
이퇴계서초 (사진=한국고문헌연구소 ).2023.03.12.

 

문제가 있다 싶어 다른 안내문까지 이어서 읽어보게 되었다. ‘이퇴계서초(李退溪書抄)’. "선생의 8대손 초초암공(草草唵公:泰淳)이 일본에 사신으로 갔던 김이교(金履蕎)에게 빌려 복사한 것이다. 10권 10책이다.”라는 것이었다. ‘초초암공은 대사간을 지낸 초초암공(草草庵公)’이 정답이고, ‘김이교(金履蕎)’는 우의정을 지낸 죽리(竹里) ‘김이교(金履喬)이며 복사는 필사(筆寫)’가 바른 표현이다.


KakaoTalk_20230316_095524279_05.jpg
등경, 흑단연 (사진=한국고문헌연구소 ).2023.03.12.

 

그 옆에 있는 등경(燈檠설명문에는 "등잔을 엊어 놓던 등잔거리로서라는 것에 엊어라고 오식(誤植)한 것을 진작 인지해서인지 을 수기(手記)’해 궁색하게 잘못을 수정해 두었다그러나 이 역시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도산서원의 품격에는 모두 어울리지 않는 잘못된 방식이다고식지계(姑息之計).


우리의 유산은 세계유산 등재를 자랑하는 것을 넘어서 이를 기리고 배워 후대에 이어주어야 한다. 그렇기에 이러한 오식을 오래도록 간과, 방치하고 있는 현실은 분명 문화재 당국이나 도산서원 관계자는 물론 필자를 포함한 관람객 모두에게도 등한(等閑)히 여겨 지나친 잘못이 없지 않다고 본다. 조속한 시일 내에 그 정오(正誤)를 살피고 가려서 바로잡아야 한다.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

 

*고식지계 (姑息之計):임시방편으로 당장 편한 것을 택하는 꾀나 방법.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