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9 (목)

[국악신문] 서지학자 김종욱의 문화사 발굴 자료 (74)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악신문] 서지학자 김종욱의 문화사 발굴 자료 (74)

단성사

  • 특집부
  • 등록 2023.02.24 07:30
  • 조회수 10,746

김종욱

 

흘러간 이름 團成社, 劇壇 四十年史 無言主人公   

= 歷史 오랜 團成社終焉! ‘大陸劇場으로 遂 改名, 主人맞아서 不遠開舘豫定


40여년이란 오랜 역사를 기진 북촌(北村)의 유수한 영화와 연극의 전당(殿堂) 단성사가 드디어 경영곤란으로 명치좌(明治座) 관주(舘主) 석교(石橋)씨에게로 넘어가서 지난 71일부터 10일까지 열흘 동안 일반으로부터 단성사의 새 이름을 현상을 내걸고 모집하였던바 드디어 지난 18일 정오에 추첨으로 새 이름을 결정하고 이제부터는 오로지 개관 날짜만을 기다리게 되었다 한다.

전 조선 각지로부터 들어온 투표 총수는 24천여표로서 종로좌(鍾路座)’ 혹은 제이 명치좌(第二 明治座)’ 등의 각색각양의 명칭이 많았으나 결국 대륙극장(大陸劇場}’이라 결정하고 경관 입회하에 추첨하여 당선자를 정하였는데 주소와 씨명은 아래와 같으며 심금은 50원이라 한다.

 

ᅀ 경원선(京元線) 연천역(蓮川驛) () 박용신(朴龍信) (사진은 단성사)

= 布張두른 바락크 속 豪然! 舊派總本營 再轉하여 映畵常設舘으로 =

 

단성사

 

단성사! 단성사! 이제는 다시 두 번 부를 바이없는 "단성사는 과연 여직껏 어떠한 굽이굽이의 고개를 넘어 왔는고? 북촌(北村)의 영화상설관으로 사십여 년이란 짧지 않은 역사를 가지고 내려온 말 없는 "단성사의 흘러간 과거의 슬프고도 그리운 역사를 워너영화배급소 아구영(李龜永)씨에게 듣기로 하였다.


지금으로부터 약 14년 전 당시의 서울에는 원각사(圓覺社)니 장안사(長安社)니 연흥사(演興社)니 하는 등의 극장이 있었다. 이러한 극장들이 있을 때 역시 지금 자리에 "단성사기 있었던 것이디. 단성사가 처음 탄생하게 된 것은 역시 그것은 우리들의 손이어서 단 두 사람의 합동 경영이었다. 이들을 잘 기억하지 못하지만 그들 최초의 경영자는 극장을 경영하여 나아감에 우선 영리보다도 무엇보다도 자기들의 이상을 실현하기에 급급하였던 사실이다.

 

물론 당시의 "단성사는 오늘과 같은 위풍당당한 집이 아니라 바라크식의 집이었다. 창립 당시에 있어서는 소위 구파(舊派)라고 하여서 입창(立唱)이며 좌창(坐唱)이며를 하였고 줄 타고 재주를 넘는 광대(廣大)들을 위하여 무대를 제공하였던 것이다. 그러자 단성사가 불이 붙고 또한 고 황금좌(黃金座)의 관주(舘主) 전촌(田村)씨의 손으로 넘어와서 비로소 영화상설관(映畵常設館)으로 면목을 일신하게 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20여 년 전이나 된다. 그때부터 오늘까지 단성사는 이 전촌(田村)씨의 소유가 되어온 것이다.


그러나 실제 경영을 모르는 전촌 씨는 불붙은 단성사를 단 3천원에 사기는 샀으나 앞으로의 운영방침이 애매하자 그 경영권을 고() 박승필(朴承弼)씨에게로 넘긴 것이다. 박승필씨와 전촌씨와는 광무대(光武臺)를 중심으로 본시부터 특별한 관계가 있었다. 그래서 매월 650원씩의 집세를 내기로 하고 박승필씨는 흥행권을 맡고 전촌씨는 다만 자본주로써 한 걸음 물러나게 되었으니 이것이 대정(大正) 7(1918) 경이었다. 말하자면 전촌’ ‘두 사람의 합자(合資)로 단성사는 유지되어 나가게 된 것이었다. 이렇게 3천원이란 너무나 싼 값으로 전촌씨에게로 넘어와서 비로소 상설관으로 변한 단성사는 다시금 고 박승필씨에게로 넘어가서 비로소 상설관으로서 본격적 활동을 개시한 것이었다. 당시의 영화란 물론 전부 무성(無聲)영화이었고 그 중에서도 단성사가 즐겨 상영한 것은 유니버설회사와 파라마운트회사의 작품이었다. 지금도 우리 기억에 새로운 명금(名金)’은 아마 단성사가 상영한 수입 명금은 연속 영화 증에서도 너무나 유명한 영화일 것이다.


당시에는 영화가 거의 무성이고 하였으니까 거기에 따라서 유명한 변사(辯士)도 많이 나왔다. 더구나 박승필씨가 단성사를 맡게 되자 그때까지 우미관(優美舘)에 있던 유명한 변사는 모두 이곳으로 쏠리고 말았던 것이다. 즉 이병조(李丙祚), 최병룡(崔炳龍), 김덕경(金悳經), 고 서상호(徐相昊) 등 제씨였다.

그러나 극장의 펜이란 흡사히 유행을 따르는 아가씨의 마음 같아서 그들은 차차로이 연속영화 등속에서 싫증을 느끼고 차차로이 새로운 무엇을 찾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단성사가 스스로 적지 않은 지본을 던지어 신파극단을 조직한 것은 바야흐로 이 때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