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9 (목)

[국악신문] 서지학자 김종욱의 문화사 발굴 자료 (73)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악신문] 서지학자 김종욱의 문화사 발굴 자료 (73)

대조선 개국 오백 오회 기원절 축사

  • 특집부
  • 등록 2023.02.17 07:30
  • 조회수 1,176

김종욱

 

대조선 개국 오백 오회 기원절 축사를 팔월 십삼밀 오후 세시에 독립관에서 행하는데 국기를 높이 달고 그 아래 화초로 단장하였는데 정부 대소 관인과 여러 학도와 인민이 많이 모였으며 각국 공 령사와 신사와 부인들이 각기 예복을 갖추으고 대대이 앉았는지라 그 축사하는 절차를 보니 처음에는 배재학당 학원들이 축수가를 불러 가로대 오백여 년 우리 왕실 만세 무궁 도으소서 찬송하니 외국 부인이 악기로 율에 맞추어 병창하더라

둘째는 회장 안경수 씨가 개회하는 뜻을 연설하고 셋째는 한성판윤 이채연 씨가 학부대신 이완용씨를 대신하여 국민의 당연히 할 직무를 연설하고 넷째는 배재학당 학원들이 뮤국화 노래를 부르는데

 

우리나라 우리 임금

황천이 도우샤

임금과 백성이 한 가지로

만만세를 즐겨하여 태평 독립하여 보세

하니 외국 부인이 또 악기로 율에 맞추어 병창하더라


다섯째는 미국 교사 아펜셀러씨가 영어로 조선에 거류하는 외국 사람들을 대하여 각기 당연히 할 직무를 연설하며 여섯째는 의사 제이슨 씨가 조선 관민들을 대하여 진보하는 것을 연설하고 일곱째는 배재학당 학원들이 나라 사랑하는 노래를 부르니 외국 부인이 또 악기로 율에 맞추어 병창 하더라 여덟째는 전 협판 윤치호 씨가 기원절일 문제를 연설한 후에 탁지대신 심상훈 씨가 제이슨 씨와 아펜셀러 씨의 연설한 것을 감사하다고 말하더라. 다음에 다과례를 행하고 날이 저문고로 다 헤어져 돌아가더라.


무궁화 노래

. 성자신손 오백년은 우리 황실이요

산고수려 동반도는 우리 본국일세


-후렴은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 애국하는 열심 의기 북악같이 높고

충군하는 일편단심 동해같이 깊어

천만인 오직 한 마음 나라 사랑하야

사농공상 귀천 없이 직분만 다하세 

우리나라 우리 황제 황천이 도우샤

군민공락 만만세에 태평 독립하세


70438130.1.jpg


現代無窮花 木槿花라고도 하였으니 목근화를 그 당시 무궁화 비슷이 발음하여오던 모양이랍니다. 이는 지금 일본에서 무궁화 즉 槿花를 ㅇㅇㅇ라고 부르는 것을 보아도 그 당시 발음이 무궁화비슷이 혹은 와전되어 무궁화라고 俗鄕에서 불려 내려왔는지도 모른다고 학자들은 말합니다.

그러나 槿花 즉 무궁화를 지금과 같이 無窮花라고 쓰게 되기는 극히 젊은 근대의 일이라 합니다. 아마 지금부터 이십 오륙년 전 조선에도 개화풍이 불게 되어 양인의 출입이 빈번하게 되자 그때의 선진이라고 하던 尹致昊씨등의 발의로 "우리 대한에도 國歌가 있어야 된다고 한편으로 洋樂隊도 세우고 한편으로 국가도 창작(?)할 때 태어난

 

"上帝가 우리 皇上 도우사

海屋주를 같이 쌓으소서

ㅇ이 에 떨치사

億千萬歲永遠無窮하소서"


라는 노래의 부속되어 있었다고 하는(?) "東海물과 白頭山이 마르고 닳도록 이라는 愛國歌의 후렴인 "無窮花三千里 華麗江山이라는 구절이 끼일 때에 비로소 槿花 즉 무궁화를 無窮花라고 쓰기 시작한 듯 하답니다.

國歌짓고 國花 그리고 이와 전후하여 島山 安昌浩선생들이 맹렬히 민족운동 國粹運動을 일으킬 때에 조선을 무궁화에 비겨 청산 같은 웅변을 현하같이 토할 때마다 우리 무궁화동산은...’ 하고는 주먹이 깨어질 듯이 책상을 두드리고 연단이 부서질 듯 벌을 굴렸습니다. 아마 이러한 자극과 동기가 근화가 무궁화로 변하여 그때에 국민이라고 하던 사람의 귀에 익어지고 입에 오른 듯합니다.

어쨌든 이때를 전후하여 근화를 무궁화라고 뚜렷이 쓰기 시작하고 또한 이것으로써 조선의 國花를 만든 듯합니다. 그러나 無窮花라는 를 쓴 동기는 순전히 보기 좋고 뜻 깊게 하노라고 쓴 것이지요.


一時李花槿花 즉 무궁화가 위에 기록한 바와 같이 그때에 비로소 국화가 되었다 하여 국민의 숭상을 벋았다는 것은 아니외다. 먼저 쓴 바와 같이 이전 오백년 전 옛날부터 조선 나라에는 槿花가 많아 저 중국 사람의 눈에도 "君子之國多 木槿之擧로 보였고 또한 그보다도 좀 늦어서 海東繹史에 고려시대에 중국에 글을 보낼 때에 고려를 槿花鄕이라고 自稱하였으니 근화가 古來로 개전에 많았던 것은 사실이 증명하는 바입니다. 그러나 그 후에는 근화에 대한 기록이 조금도 남지를 않았으니 이는 李 太祖가 조선을 얻은 후에 李花를 숭상하는 뜻으로 나라의 자랑거리요 백성이 다 같이 숭상하던 근화를 배척한 듯 하외다. 그래서 그간 근화가 사람의 눈에서 멀어졌던 것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