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공연소식] 합창과 국악관현악, ‘칸타타 종묘제례악‧아리랑’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9월 29일부터 이틀간
유네스코 등재 무형문화유산 새롭게 해석
숭고하고 아름답게, 웅장하고 장엄하게!

이정하 기자
기사입력 2022.09.27 09:00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03_국립국악원_창작악단_기획공연_칸타타 종묘제례악·아리랑_창작악단_공연모습.jpg
    [국악신문]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기획공연 칸타타 종묘제례악·아리랑 창작악단 공연모습. (사진=국립국악원) .2022.09.27.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남북이 함께 유네스코에 등재한 아리랑(ARIRANG). 국립국악원 창작악단이 이 두 유산을 합창과 기악 반주가 어우러지는 칸타타 형식으로 선보인다. 오는 29()30() 국립국악원 예악당 무대에 오르는 이 칸타타 종묘제례악아리랑웅장한 합창과 동서양 악기 편성 등을 통해 종묘제례악의 장엄함과 아리랑의 서사가 다채롭게 표현된다.


    이번 공연은 지난 해 6월 국립국악원 창작악단의 100회 정기공연으로 선보인 합창 교향곡 아리랑, 끝나지 않은 노래에 이어 유네스코에 등재된 한국의 무형문화유산인 종묘제례악을 추가한 형태이다.

     

    창작악단 48, 위너오페라합창단 50, 객원 연주자와 협연자 25명 등 총 123명이 출연해 웅장한 규모의 울림과 조화로운 선율을 전할 예정이다.

     

    숭고하고 아름답게, 그리고 웅장하고 장엄하게!

    대합창과 국악관현악의 조화로 전하는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은 600여 년간 이어온 조선시대의 근간이 되었던 왕실의 제사음악으로 2001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우리나라 최초의 문화유산이다. 국립국악원 창작악단은 종묘제례악의 장엄함과 절제된 아름다움을 유지하면서 동서양 음악의 화합을 통해 현대적으로 계승한 새로운 음악으로 관객과 소통하고 국악 세계화의 저변을 넓히고자 이번 공연을 기획했다.

     

    창작악단의 위촉으로 이번 작품을 작곡한 김은혜 수원대학교 교수는 종묘제례악을 총 3개의 악장으로 구성했다. 1악장 선조께 예를 올립니다는 신을 맞이하는 의식인 영신례(迎神禮)’, 신에게 예물을 바쳐 폐백을 드리는 의식인 전폐례(迎神禮)’, 신에게 제물을 올리는 의식인 진찬례(進饌禮)로 엮어 원곡의 선율을 최대한 활용하고 매우 느리고 장중한 음악으로 표현했다.

     

    2악장 선조들의 문덕을 찬양합니다에서는 종묘제례악에서 왕들의 문덕(文德)을 칭송하는 보태평 11곡을 선조들의 문덕을 찬양합니다(희문, 熙文)’, ‘높은 덕이 빛나시도다(대유, 大猷)’, ‘아름다움과 어지심 끝이 없어라(역성, 繹成)’ 등의 3곡으로 재구성했다. 원곡의 주제 선율과 대조를 이루는 도약 진행과 정가와 합창, 그리고 관현악 화성의 조화로움을 통해 선조들의 문덕을 숭고하고 아름답게 그렸다.

     

    04_국립국악원_창작악단_기획공연_칸타타 종묘제례악·아리랑_창작악단_공연모습.jpg
    [국악신문]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기획공연 칸타타 종묘제례악·아리랑 창작악단 공연모습. (사진=국립국악원) .2022.09.27.

     

    3악장 선조들의 무공을 찬양합니다에서는 종묘제례악에서 왕들의 무공(武功) 찬양하는 정대업 11곡을 5곡으로 재구성했다. 특히 첫 곡인 빛나는 무공을 밝히셨도다(소무, 昭武)’는 곡의 시작을 알리는 웅장한 진고(晉鼓) 소리에 이어 타악기와 태평소의 선율이 곡을 이끌어 나간다. 무공을 찬양하는 노래에 걸맞게 바리톤과 대합창이 관현악과 함께 타악기와 특수 악기 등이 어우러지며 곡의 웅장함을 더한다.


    동서양 성악과 악기의 대편성, 그리고 웅장한 합창이 함께하는 아리랑

    "한국 음악과 성악의 진수 맛볼 수 있는 공연 될 것


    2부에서는 오랜 시간 우리 민족의 희로애락을 담고 있는 아리랑을 서사로 풀어낸 아리랑, 끝나지 않은 노래’(작곡 서순정 한양대학교 겸임교수)를 전한다. 4개 악장으로 구성된 원곡에서 2악장 우리의 슬픔을 아는 건 우리뿐4악장 함께 부르는 노래를 연주해 화합과 평화를 그리며 대곡으로 꾸민 무대의 대미를 화려하게 장식한다.


    이번 공연을 위해 참여한 제작진과 출연진도 공연의 구성만큼 다양하다. 대본 구성에는 국립창극단 예술감독을 역임한 고려대 유영대 교수가 참여했고, 연출은 경성대학교 겸임교수 양수연 연출가가 맡았다.


    합창은 위너 오페라합창단이, ‘종묘제례악의 정가는 국립국악원 정악단의 박진희와 김대윤, 소프라노에는 홍주영 추계예대 교수, 바리톤에는 한명원 안양대 교수가 노래한다. ‘아리랑, 끝나지 않은 노래의 민요엔 강효주 이화여대 교수, 판소리는 국립부산국악원의 정윤형 소리꾼, 소프라노에는 C. J. ARTISTS 소속의 신은혜, 테너에는 런던 로열오페라 주역 가수인 박성규가 참여한다. 지휘는 이용탁 창작악단 예술감독이 맡았다.


    이용탁 예술감독은 "세계인류무형문화유산 '종묘제례악'과 '아리랑'을 칸타타로 접할 수 있는 이번 공연은 한국의 음악과 성악의 진수를 맛볼 수 있는 공연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01_국립국악원_창작악단_기획공연_칸타타 종묘제례악·아리랑_포스터.jpg
    [국악신문]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기획공연 칸타타 종묘제례악·아리랑 포스터. (사진=국립국악원) .2022.09.27.

     

     

     

     

    경연대회

    경연대회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