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8 (수)

[아리랑칼럼] (48) ‘사할린’은 ‘동행’이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리랑칼럼] (48) ‘사할린’은 ‘동행’이다

기찬숙/아리랑학회 연구이사

  • 특집부
  • 등록 2021.10.30 07:30
  • 조회수 59,595

아리랑은 민중들의 공시매체이다. 간결한 선율에 두 줄의 사설로 개인적인, 또는 집단적인 심사를 표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내 앞의 기쁨과 슬픔을 자연스럽게 반영하여 노래로 주고받아 소통하는 것이다.


아리랑의 이러한 매체성은 적어도 1930년대 해외 동포들에게는 집단기억(COLLECTIVE MEMORY)으로 체화된 문화였다. 그래서 1930년대 말부터 사할린으로 강제 동원된 동포들도 아리랑을 통해 참상을 드러냈다. 그 아리랑은 너무나 늦게 우리에게 전해진 ‘사할린아리랑’이다. ‘사할린아리랑’은 ‘동토(凍土)의 눈물’이었다. 

 

" 따뜻한 조선을 놔두고 사할린에는 왜 왔나 왜왔나

  우리님 따라서 내여기 왔지"(사할린아리랑)


   457.jpg

[국악신문] 러시아 사할린 주(州) 주도 유즈노사할린스크 시(市) 사할린 한인문화센터에서 한겨레아리랑연합회, 사할린주한인협회 공동주최로 열린 '한민족공동체실현을 위한 2019 사할린 아리랑제'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 하고 있다. 하바롭스크 아리랑앙상블 (게나김, 김이리나) 이 특별출연을 했다. 2019.11.17. 

 

나의 사할린 동포에 대한 이해는 이렇게 아리랑이란 프리즘을 통해서였다. 2010년대 들어 접하게 된 사할린 동포사회가 왜 아리랑을 부르는지를 알게 된다. 아리랑을 본격적으로 공부한 지 10년이 지나서 였다. 이 부끄러움으로 사할린 동포를 만나고 공부하였다. 결국 ‘사할린아리랑제’라는 이름으로 가서 함께하게 되었다. 남사할린 곳곳의 흔적은 모두 위령제의 대상이었다. 세상에 이런 지역이 어디 있겠는가. 내가 가서 부른 조국의 아리랑은 장송곡이며 위령가가 되었다.

 

7e0057eac042bbc9f04aa6d8aae10cfe.jpg
[국악신문] 2019년 서울아리랑페스티발 전국아리랑경연대회에서 금상을 수상한 사할린아리랑무용단(단장:박영자)기념 촬영. 2019-10-17

 

‘사할린아리랑’에 밴 눈물은 1, 2세대만의 것은 아니었다. 지금도 법령이란 또는 제도란 이름의 한계로 눈물을 흘리는 동포들이 있다는 사실도 알았다. 이런 사정들을 들으며 10여 년을 오가는 동안 세상을 뜨신 분들도 있다. 그때마다 그분들의 한결같은 마지막 눈길은 조국을 향하였음을 확인하기도 했다. 그것은 곧 "조국이여 우리를 잊지 말아 달라”라는 한스러운 호소였다. 내가 미약하지만 사할린 동포들과의 ‘동행’을 마음으로 약속한 계기는 이런 경험으로부터 시작되었다.


kimeey2019.jpg
[국악신문] 제7차 사할린아리랑학교(운영자:기미양) 수업을 마치고, 오른쪽부터 필자, 디아스포라문화원 이미르 홍보대사, 사할린아리랑무용단 박영자 단장(2021년 KBS한민족방송 체험수기 대상 수상자) 디아스포라문화원 박승의 원장님 댁에서. 사할린 유즈노사할린스크,2019-08-15

 

나의 이 ‘동행’ 약속의 실천은 우선 동포들이 남긴 기록을 수집하고 정리하여 국내에 알리는 일과 기회가 되는대로 기록을 남길 수 있도록 돕는 일이다. 전자는 수십 편의 문학작품을 남긴 춘계 류시욱 선생 기록을 찾아 문경에 ‘디아스포라문화원’을 설립하게 한 것이고, 후자는 국내 언론에 동포들의 사연들을 보도하게 한 일이다. 특히 후자에 주력을 하고 있다. 이 중 하나가 KBS한민족방송의 뜻깊은 사업에 연계시키는 일이다. 이를 기록들을 통해 후세에게 ‘사할린의 눈물’뿐만 아니라 조국과의 동행 과정을 전해주기 위해서 시작되었다.


kimee.jpg
[국악신문] 2019년 12월부터 1월까지 약 1달 동안 <극동러시아 및 사할린 한인연구 답사>를 수행했다., 사할린 유즈노사하린스크 러시아 아카이브관에서 2020-01-21

 

나의 이런 작은 동포들과의 ‘동행’ 실천을 이해해 준 KBS 한민족방송으로부터 영예의 공로상을 받았다. 더 열심히 하라는 격려의 상임을 안다. 지금 사할린 현지와는 코로나19로 거의 단절 상태이다. 대신 SNS통신을 통한 온라인 소통과 국내 영주귀국 동포들을 통해 작은 동행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런 정도의 단절에도 전전긍긍하는데, 80년 동안 단절은 오죽했겠는가. 이런 생각하면 동행을 통한 소통의 계기가 얼마나 소중한가를 새삼 알게 된다. 더 많은 이들과 더 많은 기록을 남기기 위해, 더 노력하겠다는 다짐을 하게 된다. 어제는 양주에 영주귀국한 사할린 동포들과 함께 사할린에 살고 있는 박영자 단장의 KBS한민족방송 체험수기 대상 수상을 자축하는 짧은 모임을 가졌다. KBS 한민족 방송에 감사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