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8 (수)

국악신문이 걸어 온 길 30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악신문이 걸어 온 길 30

전문지로서의 편집진용 확립(11)

  • 특집부
  • 등록 2021.04.19 11:33
  • 조회수 193,639

지면 전문화 안착에 기여, 양종승 박사()


KakaoTalk_20210419_113809271.png
양종승:샤머니즘박물관장

 

신문과 방송은 소위 계기특집(契機特輯)을 중시한다역사적이거나 국가적인 기념일에 대비하는 특별 취재나 편성물이거나 자사 창립 또는 창립자 관련 기념일 특집이 대표적이대개는 내지 10년 또는 회차(回次단위의 정주년(整週年,꺾어지는 해)에 하는 경우가 많다국악신문도 100호를 기념하여 지면 전문화를 단행하는 특집 기사를 내보냈다당연히 100호를 맞는 감회와 더불어 새로운 도약을 다짐하는 기념사는 물론 편집위원을 대폭 확충위촉하고 지면을 전문화하는 혁신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전문 편집위원 위촉은 국악 전문지로서의 안착을 보여주는 것이다. 국악신문역사에서 안착기로 획정하는 기점을 바로 제100호 발간으로 보는 이유이다. 이의 정황은 20001120일자 제99<위촉 편집위원>이란 10면 기사에서 확인 된다. 이것이 100호 기념 특집기사의 시작인 셈이다.

 

"국악신문사에서는 국악 및 전통문화 발전을 모색하고자 각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편집위원들을 위촉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이제까지 실어 오던 소식과 국악계 동정기사만이 아닌 국악과 학문, 국악계 비전을 제시하는 신문으로서 발돋음 하고자 합니다.”

  

이런 취지로 위촉한 전문분야 편집위원 면면은 다음과 같다기존의 편집위원에 소속과 직함만을 밝힌 것과는 다르게 전문 분야를 강조하였다민요(농요부문 이소라(문화재청 전문위원)/ 민속무용 부문 이병옥(용인대 무용학과 교수)/ 민속축제 부문 김명자(안동대 국학부 교수)/ 판소리 부문 설성경(연세대 국문과 교수)/ 아리랑 부문 김연갑(아리랑보존회 이사장)/ 민속극 부문 전경욱(고려대 국어교육과 교수)/ 기악 및 고법 부문 정회천(전북대 한국음악과 교수)/ 무속 부문 양종승(국립민속박물관 전문위원)/ 국악교육 부문 김승국(국악예고 교감)/ 고음반 부문 김종철(고음반연구가)/ 시조 부문 박종순(대한시우회 이사)/ 불교음악 부문 김능화(영산재 전수조교), 이상과 같이 매우 세분화 된 12분과 12명이다.


국악신문 100호 기념 편집위원 위촉 기사.jpg
[국악신문] 국악신문 편집위원 12분과. 민요(농요) 부문 이소라(문화재청 전문위원)/ 민속무용 부문 이병옥(용인대 무용학과 교수)/ 민속축제부문 김명자(안동대 국학부 교수)/ 판소리 부문 설성경(연세대 국문과 교수)/ 아리랑 부문 김연갑(아리랑보존회 이사장)/ 민속극 부문 전경욱(고려대 국어교육과 교수)/ 기악 및 고법 부문 정회천(전북대 한국음악과 교수)/ 무속 부문 양종승(국립민속박물관 전문위원)/ 국악교육 부문 김승국(국악예고 교감)/ 고음반 부문 김종철(고음반연구가)/ 시조 부문 박종순(대한시우회 이사)/ 불교음악 부문 김능화(영산재 전수조교), 국악신문, 2000년 11월 20일자 제99호 <위촉 편집위원>

 

일반적인 인지도로는 부족할 수는 있으나 해당 분야 전문성으로서는 이의가 없다고 평되었다. 여기서 눈여겨 볼 것은 민속의 강조와 무속, 불교음악, 고법, 아리랑과 같이 종목의 하위 장르를 포함시킨 점이다. 이는 2000년 들어 일기 시작한 문화예술계의 트랜드를 반영한 것이다. 이에 따라 위촉된 편집위원들은 100호부터 고정 코너 필진과 편집 자문역으로 참여하여 국악신문 전문화 안착에 기여했다. 이들의 전문성 발휘는 칼럼, 기획기사, 연재기사 집필, 자문역 등으로 참여했다.


78790564_2719600584766827_7338951794250219520_n.jpg
[국악신문] 양종승 샤머니즘박물관장  2019동계기록민속학회학술대회, 장소:샤머니즘박물관 2019-12-06. (사진:기미양).

 

100호를 기념하여 새롭게 마련된 기획물 중 대표적인 지면이 칼럼 <국악시론>이다이의 첫 집필은 양승종(1952년생박사가 맡았다필자인 양 박사는 대체불가(代替不可무속학 박사이다이 호칭은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대충의 전문가를 부르는 세속적인 호명이 아니다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리처드 바우만 교수와 로저 저넬리 교수의 지도를 받아 박사학위를 받은 실제의 민속학과 인류학 박사학위자이다


그리고 1960년대부터 무속춤을, 1970년대에는 황해도 출신 큰무당에게서 무속춤과 소놀이굿을이후 강령탈춤과 경기 무속춤 까지 속속들이 섭렵(涉獵)했다이렇게 실기를 체화하며 동시에 온나라 굿판을 다니며 보고서와 연구논문으로 학계에 기여했다


이런 활동은 국내는 물론 해외 한국학계에서도 인정을 받았다이런 배경에서 샤먼 학자로써 샤먼들의 아픔을 이야기하는 대변자’(미국아시아학회 로렐 켄달 회장)라는 찬사를 받고 있다이 샤먼들의 대변자로의 호명은 세계샤먼학계에서도 대체불가 한 인물임을 인정한 것이다.


양 박사는 100호 특집 신설 코너 <국악시론>은 ‘국악을 통해 한국적 문화의 틀을 만들자라는 칼럼이다. ‘국악은 다양한 장르를 아울러야 한다라는 지론과 함께 국악신문에 대한 제안을 했다. 칼럼의 대략은 다음과 같다.


" 국악은 우리의 소리, 행위, 놀이, 의례, 그리고 신앙 등 이른바 한민족 전통문화의 총 집결체에서 표출되어진 역사의 산물이며 애국의 음률이다. 오늘날 까지도 한민족의 세계관은 국악이 바탕이 되는 가무악(歌舞樂)으로 펼쳐져 왔으며 그것은 우리 삶을 통해 입증되어 왔다.(중략) 국악의 미래는 우리들의 새로운 각오와 사고전환을 통한 우리문화의 틀을 짜는 데서만 찾을 수 있다.(중략) 국악신문은 사회교육적 기능을 발휘하고 그 역할을 수행해 나가야 한다.”


양 박사가 첫 필자로 참여한 <국악시론> 칼럼란은 고정란으로 자리 잡아 이어졌다. 이후 양 박사는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하여 국악신문의 전문화에 기여하였다.(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