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9 (목)

한악계 별들 20: 서도지방의 맛과 멋을 이어 준 고마운 은인 오복녀 명창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악계 별들 20: 서도지방의 맛과 멋을 이어 준 고마운 은인 오복녀 명창

  • 특집부
  • 등록 2021.02.05 07:30
  • 조회수 93,006

                           한명희/이미시문화서원 좌장


오복녀2.jpg
서도소리 인간문화재로, 자그마한 체구에 가곡, 궁중 무용, 가야금 등 많은 재기를 담고 있다.

 

전통음악계에서 차지하는 오복녀吳福女 명창의 비중은 열 번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만큼 그의 존재는 여러 면에서 독보적이고 진귀하고 막중한 바가 있다. 우선 서도소리의 진수를 체득한 유일한 대가라는 점에서도 그러하다.


오 명창은 서도지방에서 태어나 서도의 정서와 풍물을 온전히 체득한 가객이다. 그의 노래 속에는 자연히 서도 예술의 맛과 멋이 진솔하게 배어나기 마련이다. 수심가나 긴아리에 묻어나는 애잔한 정한이 그러하고, 난봉가나 산염물에 스며 있는 따듯한 삶의 체취가 그러하며, 초한가나 공명가 등을 통해서 펼쳐내는 담담한 인생 경륜이나 고담들이 그러하다. 한마디로 노래 속에 서도적인 삶이 있고 서도적인 인생살이가 내밀하게 농축돼 있다. 그래서 노대가의 노래는 목청과 기량만을 앞세우려는 문하 세대와도 다르고, 서도 문물을 경험하지 못한 타지역 출신들의 서도 창과도 판연히 다른 것이다.


한편 오복녀 명창의 진가란 비단 음악적 범주에만 국한하지 않는다. 오히려 시대적·역사적 관점에서 그의 존재 의미는 한층 돋보인다. 바로 민족 분단의 현실에서 이산의 아픔을 위무해 준 것이 다름 아닌 오 명창의 서도소리였기 때문이다.

 

분명 오 명창의 서도소리는 북녘에 고향을 둔 실향민들에게는 더없는 위안이요 추억이었으며, 문화적인 정체성과 동질성을 확인시켜 주는 고맙고도 절실한 존재였다. 그들은 서도 토박이 명창의 노래를 통해 망향의 그리움을 달랬고, 고향의 풍광을 그려봤으며, 외로운 처지들 간의 끈끈한 우애와 응집력을 키워 가기도 했다. 이 점에서 오 명창의 서도소리는 음악의 차원을 뛰어넘는 시대적 의미망을 지니는 것이다.


노래도 예술도 인간의 삶 속에서 싹터 나온다. 따라서 삶의 양상이 바뀌면 노래도 예술도 바뀌기 마련이다. 사는 모습만 아니라 이념이나 가치관이 근본적으로 뒤바뀐 북한지방에서는 그래서 어제의 전통음악의 모습을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이제 통일이 되어 고향을 가도 옛 듣던 가락, 옛 놀던 연희들을 만나기란 거의 난망하다. 얼마나 안타깝고 허망한 일이겠는가.


바로 이 같은 역사적 상황을 떠올릴 때 우리는 재삼 오복녀 명창의 존재 의미와 그 음악의 존귀함을 깊이 통찰하고 소스라쳐 절감하지 않을 수 없다. 오 명창이야말로 풍전등화와 같은 서도소리의 명맥을 실낱같이 이어가며 힘겹게 달려가는 성화 봉송자와도 같은 소중한 예인이다.

 

오복녀22.jpg
인간문화재 오복녀 서도소리(좌창) 제3집 음반. 1994년 발매

 


(본 연재는 이지출판사 출간 '한악계의 별들'에서 발췌하여 게재한다. 이를 허락해주신 출판사와 필자에게 감사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