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2 (일)

송파산대놀이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악뉴스

송파산대놀이

  • 김지연
  • 등록 2005.05.31 15:39
  • 조회수 1,419
무제 문서

일시 : 2005년 6월 5일 오후 4시

장소 : 놀이마당

문의 : 063-280-7000~1, 280-7006~7(문화사업팀)


▲출연
* 송파산대놀이보존회

▲내용
1.송파산대놀이 (중요무형문화재 제49호)
: 산대놀이란 중부지방의 탈춤을 가리키는 말이다. 송파산대놀이는 서울ㆍ경기 지방에
서 즐겼던 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의 한 갈래로 춤과 무언극, 덕담과 익살이 어우러진
민중의 놀이이다. 이 놀이는 매년 정월 대보름과 단오ㆍ백중ㆍ추석에 명절놀이로 공연
되었다.
송파마을은 경기일원의 상업근거지로, 약 200년전 송파장이 가장 번성하던 때에 산대놀
이가 성행하여 오늘날까지 전하는 놀이형태로 완성되었다고 한다. 송파산대놀이는 전체
7과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놀이에 앞서 가면과 의상을 갖추고 음악을 울리면서 공연장
소까지 행렬하는 길놀이를 하고, 가면을 배열해 놓고 고사를 지낸다. 놀이내용의 구성이
나 과장ㆍ춤ㆍ탈 등이 양주별산대놀이와 거의 비슷하지만 몇 개의 탈과 춤, 배역이 옛 형
태를 지닌 것이 특징이다. 즉 양주별산대놀이에서는 이미 사라진 화장무 춤사위가 남아
있고, 해산어멈ㆍ신할미ㆍ무당의 탈이 남아 있어 이들 탈들이 맡은 역이 따로 있다. 바가
지, 소나무껍질, 종이 등으로 만든 탈 33개가 사용되며, 놀이형태는 다른 탈춤과 마찬가
지로 춤이 주가 되고 재담과 동작이 곁들여진다.
송파산대놀이는 옛 형태를 지닌 민중놀이로 중요무형문화재에 지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