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남사당놀이

1964년 12월 7일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문화재) 제3호
2009년 9월 30일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김하늘
기사입력 2020.07.19 09:12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l44_30_i1.jpg

     

    1964년 12월 7일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문화재3호로 지정되었고, 2009년 9월 30일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남사당은 대개 농어촌이나 성곽 밖의 서민층 마을을 대상으로 하여 모심는 계절부터 추수가 끝나는 늦은 가을까지를 공연시기로 하였다남사당은 서민들로부터는 환영을 받았지만 양반에게는 심한 혐시(嫌猜)와 모멸의 대상이었기 때문에 아무 마을에서나 자유로이 공연할 수가 없었다.

     

    공연을 하기 위해서는 공연에 앞서 마을에서 가장 잘 보이는 언덕을 골라 온갖 재주를 보여주는 한편 곰뱅이쇠가 마을로 들어가 마을의 최고 권력자(양반)나 이장 등에게 공연 허가를 받아야 하였다. 만약 허락이 나면 "곰뱅이(許可) 텄다"고 하면서 의기양양하게 '길군악'을 울리며 마을로 들어가지만 대개의 경우는 곰뱅이가 트이지 않았다고 한다. 저녁밥을 먹고 날이 어두워지면 놀이판으로 잡은 넓은 마당에 횃불을 올리고 공연을 시작한다.

     

    한편 놀이판에는 사전에 가곡264의 줄을 매고 꼭두각시놀음의 포장막과 버나(대접돌리기살판(땅재주덧뵈기(탈놀음) 등을 위한 장치를 설치하며, 마당 한가운데에는 멍석을 56장 깐다. 여기서 벌이는 '남사당놀이'의 종목은 6종이다.

     

    풍물:일종의 농악으로, 인사굿으로 시작하여 돌림벅구·선소리판·당산벌림·양상치기·허튼상치기·오방(五方)감기·오방풀기·무동놀림·쌍줄백이·사통백이·가새()벌림·좌우치기·네줄백이·마당일채 등 24판 내외의 판굿을 돌고, 판굿이 끝난 다음 상쇠놀이·따벅구(벅구놀이징놀이·북놀이·새미받기·채상놀이 등의 순서로 농악을 친다. 풍물은 웃다리가락(충청·경기 이북지방)을 바탕으로 짰다고 하며, 참여 인원은 꽹과리···장구·날라리·땡각[令角]의 잽이[樂士]와 벅구 등을 포함한 최소 24명 정도가 1조를 이룬다.

     

    버나:쳇바퀴나 대접 등을 앵두나무 막대기로 돌리는 묘기를 말하는데, 중국인들의 접시돌리기를 연상케 한다. 이 놀이의 묘미는 접시 등을 돌리는 외에 돌리는 사람인 버나잽이와 받는 소리꾼인 매호씨(어릿광대)가 주고받는 재담과 소리가 극성(劇性)이 짙은 데 있다. 돌리는 물체에 따라 대접버나·칼버나·자새버나·쳇바퀴버나 등으로 분류된다.

     

    살판:오늘날의 텀블링을 연상시키는 묘기로, '잘하면 살 판이요 못하면 죽을 판'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한다. 종류는 앞곤두·뒷곤두·번개곤두·자반뒤집기·팔걸음 등 11가지 순서로 되며, 살판쇠(땅재주꾼)와 매호씨(어릿광대)가 잽이의 장단에 맞추어 재담을 주고받으며 재주를 부린다.

     

    어름:줄타기 곡예로, 무대 중앙을 가로지른 높다란 외줄을 어름산이(줄꾼)가 건너가며 매호씨와 재담을 주고받는 놀이이다. 종류는 앞으로가기·장단줄·거미줄늘이기·뒤로훑기·콩심기·화창사위 등 약 15가지가 있다.

     

    덧뵈기:() 본다, 즉 탈을 쓰고 하는 연희로서 일종의 탈놀음이다. 4마당 구성으로 첫째 마당(마당씻이)에서 놀이판을 확보하고, 둘째 마당(옴탈잡이)에서 외세(外勢)를 잡고, 셋째 마당(샌님잡이)에서 내부의 모순을 없애고, 넷째 마당(먹중잡이)에서 외래 문화를 배격하는 내용이다. 탈은 샌님·노친네·취발이·말뚝이·먹중·옴중·피조리·꺽쇠·장쇠 등인데, 바가지 위에 종이를 쪄 붙여 탈에 따라 요철을 나타내고, 눈구멍과 입구멍을 뚫은 다음 아교·백분(白粉가루염료를 배합하여 각각의 특징을 그린다.

     

    덜미:남사당놀이의 마지막 순서이며 한국에 하나뿐인 민속인형극 꼭두각시놀음으로, 남사당패들에게는 덜미라는 이름으로 통한다. 6가지 놀이는 대략 밤 9시부터 다음날 새벽 34시까지 연희되어 총 67시간을 공연했다 한다.


     남사당놀이는 야외 마당에서 연희자들을 둘러싸는 시골 관객들을 즐겁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중요한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하였다. 특히 탈춤과 꼭두각시놀음은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여성들은 물론이고 하층민들의 억압받는 삶을 놀이로 보여 주었다. 이런 공연은 정치적으로 힘없는 자들을 대변하여 풍자로써 문제점들을 제기하기도 하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꿈을 주고 삶을 이어 가게 하는 평등과 자유의 이상을 보여 주었다.

     

    * 상모돌리기: 종이로 가늘고 길게 채 모양으로 만든 채상모를 쓰고 돌리는 기술

     

    * 버나돌리기: 막대기를 사용하여 쳇바퀴를 돌리는 기술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