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01 (월)
'국악신문'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212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제44회 대통령상 전국탄금대가야금경연대회가코로나19의 재확산으로 인하여참가자의 안전과 지역확산의 방지를 위해 개최 취소 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대 회 명 제44회 전국탄금대가야금경연대회 8월 21일 ~ 23일 대회년도 ...
□ 국립국악원(원장 임재원)이 재외동포 원로예술가들의 삶을 담은 ‘한민족음악총서8: 재외동포 원로예술가 구술채록 - 일본편’을 발간했다. 이번 책은 최초로 재외동포 원로예술가들이 직접 구술한 내용을 토대로 기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국립국악원은 2013년부터 북한 및 한민족 대상 음악 연구의 성과를 담은 ‘한민족음악총서’를 발간하고 있다. 그동안은 학술연구서와 자료집 등을 발간하였으나 ‘한민족음악총서8’을 시작으로 세계에 흩어져 있는 재외동포 원로예술가의 삶을 구술채록의 기록으로 남기고 있다. ...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김연수)은 7월 중 매주토요일(4, 11, 18일)오후 4시국립무형유산원(전라북도 전주시 소재) 공연장에서해설과 함께하는전통예능의갈래를개최한다. 그동안 전통 예능의 갈래는 무형유산 예능 종목을 전문해설과 함께 쉽게감상할 수 있는 ‘감상형 공연’으로 진행해 왔다. 그런데 이번 공연은 특별히 코로나19에지친 국민들의 몸과 마음을 위로하고, 삶에 대한 희망을 북돋기 위한 프로그램으로구성하였다. 7월 4일은 어머니의 심성으로 위로와 응원을 전하는 ▲ 여성의 목소리 ‘치유의노래’가 펼쳐진다. 여성의 대...
대 회 명 제4회 목담 최승희 전국판소리 경연대회 07월 25일 ~ 26일 대회년도 2020 지역 ...
대 회 명 제19회 복사골 국악대제전 전국국악경연대회 대회년도 2020. 지역 경기도 부...
「조선영화문학선집」1 1994년 7월 10일 평양문예종합출판사 刊 14.8cmx20.3cm,335쪽. 1994년 평양문예출판사에서 영화문학선집으로 발행한 책. 나운규의 영화 '아리랑'대본을 미롯해 7작품의 대본이 실려 있다.
『조선풍토가집(朝鮮風土歌集)』 『조선풍토가집(朝鮮風土歌集)』 ,진인사(경성)1935. 이 책은 가인이자 진인사(眞人社)동인이자 반도가단(半島歌壇)의 개척자라고 일컬어졌던 이치야마 모리오(市山盛雄)가1935년에 진인사 창립12주년 기념출판물로 동출판사에서 간행하고 다음해인1936년 조선공론사(朝鮮公論社)에서 제2쇄로서 출판한 가집이다.이 가집은 이치야마 모리오가 당시 조선에 거주하거나 과거에 거주하였던 가인,여행자,조선과 관계가 있는 가인들의 작품 중 조선색이 강한 작품을 ...
가곡: 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에 곡을 붙여 관현악 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전통성악. 삭대엽(數大葉) 또는 ‘노래'라고도 함. 삭대엽 이전에는 느린 곡 만대엽(慢大葉)과 중간 빠르기의 중대엽(中大葉)이 있었으나, 만대엽은 조선 영조대 이전에 없어졌고, 중대엽도 조선말에는 부르지 않게 되었음. 오늘날의 가곡은 조선 후기부터 나타난 삭대엽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됨. 지금까지도 전승되고 있는 가곡은 남창 26곡, 여창 15곡 합하여 모두 41곡. 시조시 한편을 5장으로 구분하여 부르며, 전주 대여음과 간주 중여음을 넣어 대여음-1장-2...
시조: 고려후기에서 조선전기에 걸쳐 정제된 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단가·가요·가곡·영언·시절가··신성·시조. 시조라는 명칭이 언제부터 사용된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먼저 노래를 뜻하는 말인 가요(歌謠)·가곡(歌曲)·영언(永言)·시절가(時節歌)·신성(新聲)·시여(詩餘) 등이 시대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됨. 문학 갈래로서의 명칭은 단가(短歌)가 널리 사용되었으나, 용어의 지칭 범위가 넓고 다양하여 사용되지 않고, 가곡으로 부르는 창의 사설이라는 뜻으로 가곡창사(歌曲唱詞)라는 용어를 사용하자는 의견도 있으나, 문학적 갈래 명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