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국악신문이 걸어 온 길 26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악신문이 걸어 온 길 26

전문지로서의 편집진용 확립(7)

  • 특집부
  • 등록 2021.03.22 08:46
  • 조회수 1,192,132

정범태론

 

3회에 걸친 국악신문 편집고문 및 풍류방 운영자, 사진작가, 국악인 전문 사진가로서의 정범태를 조명했다. 이번에는 인간으로서의 정범태론을 정리하고자 한다. 정범태론은 언론인이며 문화인류학자인 박정진교수가 1998발가벗고 춤추는 기자’(화담출판)에 수록한 글이다. 세계일보 문화부장 재직시 정범태 선생과 함께 한 인연으로 한 인간의 인물론을 쓴 것이다. 1996년 세계일보 사진기자를 끝으로 퇴직한 시점에서 일본 대판 상선전문학교를 다니다 해방이 되어 귀국한 이야기로부터 전개되었다.

 

KakaoTalk_20210322_084548591.jpg
문화인류학자 박정진이 엮은 정범태 선생 전기 '발가벗고 춤추는 기자'. 1996년 화담출판사 발행

 

# "4.19때 총 맞고 5.16때 감방가고 40여년 기자생활에 무일푼~”


# "인간 정범태 이야기는 한 편의 장중한 드라마이다. 한 마디로 그는 살아있는 신문사이면서 기자사이다. 평범한 한 인간이 제국주의와 전쟁과 가난과 혁명의 과정이라는 역사의 질곡과 부침을 거치면서 수난자가 되고, 때로는 도피자가 되고, 때로는 작은 영웅이 되지 않을 수 없었던 이야기이다.”


# "그의 인생은 정직하고 근면했고 솔직했다. 아마도 그가 사진을 배우지 않았다면 6.25때 남원에서 요정을 출입하면서 인연을 맺었던 광대의 길로 들어섰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가 내 뱉는 촌철살인 하는 재담이나 풍자, 익살, 촌평은 듣는 이로 하여금 어지럼증을 느끼게 한다.”


정범태론의 일부를 제시했다. 필자가 묵계월선생 제자 남은혜 명창의 음반 작업을 하던 2009년 식사자리에 함께했던 경험이 있다. 그 때도 작은 카메라로 좌중을 자연스럽게 스케치하고 설렁탕이 나오자 여지없이 촌평을 날리는 것을 들었다. "이 집(인사동 이문설렁탕)은 말야 1대 주인장이 토렴하는 맛이 없어 아쉽지만 그래도 국물의 담백함에 뒤 따르는 육향은 그대로야. 최고야! 이 맛 때문에 여길 오지”, 예리했다. 80 노구(老軀)임에도 목소리도 힘이 있었다.


지난 회에서도 언급했지만 이 글에서도 "6.25때 남원 백사령부 문관 사진가 시절 요리집 드나들던 경험이 되풀이하여 나온다. 이 경험은 파르티잔과의 전투 참상을 통해 민족의식에 눈뜨게 했고, 리얼리즘 사진작가의 40년을 가게 했다. 또한 틈틈이 만난 남원 일대의 당골 굿판에서 얻은 소리길로 어느 자리에서나 단가나 육자배기로 좌중을 꼼작 못하게 하는 아마추어 명창이게 하여 평생을 풍류쟁이로 살게 한 원천이었다. 이를 예사로 볼 수 없다. 한국 민중, 민족문화의 핵심인 당골()에서 한국의 혼을 발견하게 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한 인간에게 육화 된 특정 경험은 평생의 자산이 된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된다.


국악신문 제39(199657일자) ‘정범태 96사진기자상 선정기사(허현숙 기자)에는 40년을 회고하는 인터뷰가 실렸다. 정년 후의 삶에 대한 이야기가 주로 풍류방운영에 대한 기대도 담겨있다. 박정진 교수의 글이 이 기사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글의 마지막은 정선생의 지론을 제시했다. 하나는 "삶은 즐거운 것이다”. 둘은 "죽음을 두려워 하지 않으면 도인이다”. 셋은 "섹스도 생활이다”. 그리고 이렇게 끝을 맺었다.


친지-"이제 그만 일 그만 두고 쉬지

정선생-"내가 뭔 일, 좀 놀았지

친지-"아니, 놀다니?”

정선생-"사진통 들고 놀았을 뿐이지


풍류인답다. 이로부터 23년간 더 논 후, 2019년 9월 18자 한 신문의 궂긴소식은 선생의 마지막을 이렇게 알렸다. 생을 마친 15, 3일 후이다.


"고인의 뜻에 따라 주검은 가톨릭성모병원에 기증했으며, ‘외부에 알리지 말고, 빈소도 만들지 말라는 유지를 받들어 모든 장례 절차가 끝난 뒤 지인들에게 알려 드립니다."(2019년 9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