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국악신문이 걸어 온 길 24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악신문이 걸어 온 길 24

전문지로서의 편집위원 진용 확립(5)

  • 특집부
  • 등록 2021.03.08 07:30
  • 조회수 191,832

 정범태가 남긴 국악계 에피소드

 

1970년대만 해도 판소리와 초기 명창들의 더늠이나 사승관계나 공력 정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책은 1940년에 발간된 정노식(鄭魯湜, 1891~1965)조선창극사(朝鮮唱劇史)1966년 발간된 박헌봉의 창악대강(昌樂大綱) 정도이다. 이런 정황에서 70년대 명인명창들의 선대와의 관계 등을 살필 수 있는 자료는 거의 없었다. 그래서 이 시기는 순전히 발품으로 남도지역을 다니며 째비비갑이의 관계를 확인하지 않고서는 얽키고 설킨 관계를 알기는 쉽지 않다. 이 시기 이 부분에 대해 구체적인 정보를 갖고 있는 이는 정범태 선생이 유일했다. 당사자 중에도 밝은 이가 있긴 하지만 이 들도 자신과 관련된 동호간 주변 정황은 알아도 전반적인 관계는 알 수가 없었다.

이런 정황에서 정선생은 남도 무업 집안의 정보는 값진 것이었다. 그래서 이 시기 정 선생 남긴 에피소드는 다른 곳에서는 얻기 어려운 정보이다. 국악신문에 연재된 일련의 기사도 그래서 의미가 있는 것이다.

 

PIC_DJW_913_0001.JPG
조선요리점 식도원(食道園, 남대문통 1정목 16번지 및 삼각정 78번지)의 동정원(東庭園) 풍경을 담은 사진엽서이다. 식도원은 명월관(明月館)의 옛 주인이었던 안순환(安淳煥)이 1920년 11월 25일에 식도상회(食道商會)와 더불어 설립한 요리점이었다.

  

정선생이 자주 한 말이 있다. 필자도 10여년전 인사동 이문설렁탕집에서 설렁탕을 함께하며 들은 말인데, "뭐니뭐니 해도 당골네는 동혼간여야 족보가 있는 것이고, 화류계에서는 예능보다 이팔청춘이 무기고, 화류계 출입 한량은 남의 돈으로 대접받는 이가 진짜 한량이다라는 말이다. 이런 말은 실제 만나보고 겪어보아 체험적으로 느끼지 않으면 할 수 없는 말이다. 이제 제시하는 에피소드는 실속 있는 것들이다. 

# "()이 아닌데도 갑인 척하는 것을 비가비라고 한다. 비가비라고 해서 모두 세습당골만 못하다고 할 수는 없다. 뛰어난 이들이 있다. 대표적인 예로 권삼득 명창을 들 수 있다. 또한 해방 후 남원의 한량으로 불린 박춘광 역시 비가비다. 북으로 기능보유자가 된 김명환(金命煥)도 비기비다. 구례 출신 김무규(金茂圭)도 선비광대로 비가비였다.”

 

PIC_48154_0001.jpg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조선요리점인 명월관(明月館, 돈의동 145번지) 전경사진 엽서이다. 명월관은 안순환(安淳煥)이 1903년 9월 17일 황토현(黃土峴, 지금의 광화문네거리), 지금 동아일보사 본사 자리에서 처음 개업하였다.

  

권삼득 제비가 설렁제라는 말이 있듯이 권삼득제·덜렁제·권마성제라고 특화하여 말 할 정도로 독특한 더늠을 가진 명창 권삼득이 비가비란 점은 의외이다. 대단히 특출난 인물임을 알게 하는데, 당골 출신이 아니어도 좋은 선생과 공력으로도 명창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이런 점을 정 선생은 강조하여 여염한 소리꾼들을 격려하였다.


# "명창의 길을 택한 광대는 소리공부를 마친 후 우선 소리를 평가 받기 위해서 부호의 회갑잔치나 고희잔치에 이름 난 명창을 따라 놀음청에서 선을 보이게 된다. 여기서 잘 한다고 평가를 받으면 다음 기회에 그 사람을 천거하게 된다. 이렇게 되어 관헌에 알리고 아전들이 알면 관가에 일이 있을 때는 수시로 초대된다. 이것을 광대들은 놀음 난다고 한다. 놀음청에서 제아무리 소리를 잘하는 광대라도 소리를 듣는 순간에는 아무개 명창 칭호를 듣지만 놀음이 끝나면 하게나또는 하소나등의 반말을 듣게 된다. 이 꼴이 못 마땅한 광대는 놀음청에 서지 않고 포장굿이라도 창극단을 만들어 지방 순회를 하면서 여러 사람들의 환호 속에서 인기를 독차지하며 살아가는 길을 택한다. 창극단의 박후성 같은 인물이 대표적이다.”


구한말에서 일제초기 소리꾼들의 두 가지 길, 천시 받기 보다는 힘들어도 대중을 상대로 한 광대를 선택하는 이유를 말 했다. 다음은 2, 30년대 권번 동기(童妓)의 데뷔 과정을 보여준다. 30년대를 기준으로 한다면 명월관(明月館), 국일관(國一館), 식도원(食道園) 등이 대표적인 요리집으로 대개 이름 있는 권번의 동기가 첫 무대로 서는 곳이다. 소리를 통과한 동기에게 남은 주문과 합격 요건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 "자 이번에 손을 한번 벌려 보아라(춤을 춰 보란 말이다). 그러면 눈치 빠른 고인(악사)들은 춤 반주로 들어간다. 그 때 살풀이 한 자락쯤 추어 보이면 좌중에선 알아본다. 춤을 잘 추게 되면 좌중에선 종합 품평을 하는 소리가 이곳저곳에서 쏟아진다. 얼굴 잘 생겨서 한합이요, 소리 잘해서 이합이요, 춤까지 곁들이니 삼합이 맞아 떨어지는 군아. 기대 해 볼만 한 재목이군아.”


다음은 굿판의 상황, 경기굿과 남도굿의 악기 편성의 차이를 알려 준다.


1912 남해읍성 굿판.jpg
1912년 남해읍성 굿판. 무당과 잽이들(악공)

  

# "전라도 무악에 아쟁이 끼어든 이유는 바로 가장 슬픈 계면조를 잘 끄집어 낼 수 있는 까닭이고 경기 무악은 담백하여 징을 많이 쓰질 않는다. 전라도는 징, 장구 등 타악기만 있으면 되지만 -여기에 구음이 보태지면 흥이 나고 넌실(발림, )이 제대로 풀린다.-경기는 징과 장고로는 굿이 안된다. 최소한 피리, 젖대, 해금 등의 관악기와 장고는 갖추어야 한다. 서울의 새남굿(시킴굿) 중 자진함이 나오는데 그 음악은 새미클라식에 속하는 고급스런 것이다. 전라도 한량들은 굿판에 끼어들어 징이나 장구로 굿바라지를 할 수 있으나 경기도는 그것이 불가능하다.”


굿음악은 전문가가 아니고는 구분이 쉽지 않는 분야이다. 70년대 이만큼의 차이를 밝힌 것은 직접 굿판을 함께하지 않고서는 대비시킬 수 없을 것이었다. 오늘의 관점으로도 이 정도의 에피소드는 별것이 아닐지 모르지만 당시로서는 20여년 간이나 굿판을 체험한 정 선생이 아니었으면 불가능한 것이다.(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