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국악신문이 걸어 온길 17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악신문이 걸어 온길 17

국악의 위상정립 사업(4)

  • 특집부
  • 등록 2021.01.18 07:30
  • 조회수 193,443

           국악신문 특집부

 

국악신문이 국악의 위상정립 사업에서 박헌봉 선생의 업적을 소중하게 기리는 이유를 확인하기 위해 선생의 <國樂運動 半生記>를 정리, 조명하는 두 번째 글이다.

 

기산.jpg.png
기산 박헌봉 [朴憲鳳] 1907년 ~ 1977년

  

박헌봉 선생은 해방전후 민속음악 학자로는 거의 유일한 분이다국악예술학교를 설립하고 교장을 역임하며 민속음악가들을 배출시키고 세상에 국악의 맛과 멋을 되찾아 주기에 열성을 다했다그래서 이 분을 알고 이해하는 것이 민속음악의 길을 찾는 것이라고 여기게 되었다. ‘국악계의 큰 스승’, ‘국악교육의 선구자’, ‘국악계의 태두라고 불리는 소이(所以)인데그런만큼 민속음악의 길로 가는 이들은 선생의 생애를 동경하게 되었다그 생애를 처음으로 스스로 정리한 것이 <國樂運動 半生記>이다.

 

<國樂運動 半生記>는 월간 시사잡지 신동아(新東亞) 19687월호부터 9회에 걸쳐 연재된 것을 국악신문 제9820001025일자부터 분재(分載)한 글이다. 당시 국악신문 독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는데, 이제 주요 내용을 정리하여 선생의 국악운동 업적을 되돌아보기로 한다.

 

반생기란 자전적인 표현이다. 작고(作故) 10년 전에 쓴 글이라는 시점으로 볼 때 사실상 전 생애를 기술한 전기라고 할 수 있다. 실제 선생은 이 글 외에 회고적 진술은 없었다는 사실에서 입증이 된다. 반생기첫 회 樵童의 노래 듣고 에 눈떠는 태어난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에서 망추정(望楸亭)이라는 서당을 다니던 시절의 소리를 가슴에 담는 과정을 그렸다

 

9세 때의 어느날, 서당 가는 산모루에서 나무꾼의 지게목발 소리 "골짝 골짝 산골짝에 줄기 줄기 비묻어 온다~”를 듣게 된다. 이후 흥겨움에 겨워 이 소리를 입속으로 따라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듬 해 마을에 굿패가 들어와 서당길을 멈추고 소리판에 빠져들게 되었다. 17세쯤 사내의 가야금 병창 새타령에 정신을 빼앗긴 것이다. "그 소년의 가야금 병창을 들은 뒤부터 전보다 더 한층 악을 동경하게되었다. 그러나 이런 선생의 성향은 서당 선생과 가족들에게 노출되어 강하고 심하게 질책을 받게 되었다.

 

두 번째 ‘3.1운동 후에 書堂을 하직’에서는 3.1운동을 겪고 서당 다니는 것을 작파한 이후의 정황이 진술되었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서 회의를 갖게 된다. 서당과 가정에서의 수업에서는 순임금은 오현금(五絃琴) 여주를 즐겼고, 공자는 "예와 악은 잠시도 사람이 멀리해서는 않된다(禮樂不可作須去身)”고 했음에도, 왜 소리를 좋아하는 것을 금기시하는 지에 대한 반감으로 부터이다. 


그래서 어린 나이이면서도 서당 공부에 등한하게 되었다. 그런데 다행이도 이를 이해한 5살 위의 형이 부모님을 설득하여 서울로 유학을 하게 되었다. 

한성강습소에서 6개월 만에 초등학교 과정을 마치고, 중동학교에 입학했다. 이어 1년 만에 휘문고보 2학년에 편입하였다. 이 때 수업은 1주일에 한 시간 음악 시간이 있었지만, 서양음악 중심이어서 만족할 수가 없었다. 서당 시절에 경험한 민속음악만한 매력을 얻지 못함은 물론이어서 이해가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렇게 서울에서의 학업은 지식을 얻는 과정이었다.

 

이로서 서울에서의 생활 중에 큰 결심을 하게 되었다. 음악에 대한 열망인 것이다. 당시 진주에는 가야금으로 유명한 김덕천, 장단 신고주, 가야금 병창 김종기씨가 명성을 떨치고 있었다. 이분들에게 가서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배우겠다는 마음을 먹게 된 것이다. 이에 대해 가족들은 물론 종친들도 격노(激怒)하여 음악을 연구한다는 것을 극구 말리고 나선 것이다.

 

3회분 族譜에서 除名당할 뻔한 진술에서는 가족과 종친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음악에 매진한 과정을 그렸다.

 

"나는 의연했다. 우리민족의 고유한 예술인 민속악을 연구하겠다는 마음이 흔들리지 않았다. 반상의 계급을 타파하여 세상에서 버림받은 광대들과 더불어 이 민족예술을 지켜나가겠다는 나의 의지는 오히려 더 굳어가기만 했다.”

 

가사(歌詞)를 연구하여 와전(訛傳)된 부분을 바로잡고, 가야금과 창()을 공부하는데 몰두하게 되었다. 그런데 일제가 지방의 전통음악 활동까지 규제하고, 곳곳에 자리 잡은 일본인들의 횡포도 심해져갔다. 이에 따라 가족들의 만류도 말릴 수가 없었다. 그래서 암암리에 들어 안 상해(上海)로 가 임시정부 활동에 가담하자는 생각이 들었다. 막연한 의협심이었다. 결국 관부연락선을 타고 현해탄을 건넜다

 

그러나 일본 하관(下關)항구에서도 상해행 배를 탈 수 없었고, 오사카에까지 가서 뱃길을 모색했으나 열리지 않았다. 두 달을 허송했다. 후회를 하였고, 상해 행을 포기하고 되돌아 올 수밖에 없었다.

 

귀국하여 여러 가지를 모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진주의 음악인들을 규합하여 진주음율연구회를 조직하였다. 이 활동에 2년을 동분서주했다. 이 활동 과정에서 우리음악을 더 깊이 공부해야 한다는 자각을 했다. 그래서 다시 12년 만에 다시 상경하여 음악공부를 하기로 하였다.

 

처음 찾아 간 곳이 정악전습소였다. 8개월 동안 많은 공부와 음악적 교류를 하였다. 그리고 이어 이왕직아악부에 들어가 4개월간 공부했고, 이어 민속악의 총본산격인 최고 명창들의 조직체인 朝鮮聲樂硏究會에 입회했다. 여기서 이름 있는 이동백, 정정열, 송만갑 등의 명창들과 2년간 창법을 연구하였다. 이어서 역시 민속음악무용단체인 최경식과 박춘재가 주관하는 朝鮮歌舞硏究會에도 가입하여 경서도 가무(歌舞)를 연구하였다. 이렇게 하여 "4년 동안 정악, 아악, 민속악 등의 여러 분야를 연구하고 나니 내 나이 벌써 34~”가 되었다. 실무경험과 당대 조선음악 명인 명창들과 함께 활동한 시기이다.

 

8 일중 서 교명.jpg

 

日帝時朝鮮樂部組織은 선생의 활동상이 더욱 분명히 진술된 내용이다. 친일적인 단체인 朝鮮音樂協會에서 활동하며 함화진(咸和鎭/1884~ 1948) 선생과 함께 조선음악부신설을 추진하여 이를 성사시킨 것이다. 여기에는 남도 음악단과 경서도 가무단을 포함시킨 의미있는 업적이다. 이는 세 번의 시연(試演) 끝에 종로경찰서장 조선인 이사카(井坂)를 설득하여 허가를 받아 낸 결과였다

 

그러나 대동아전쟁의 발발로 모든 계획에 직접적인 난관을 맞아야 했다. 조선어, 그 중에서도 남도 성음을 중심으로 하는 춘향전같은 판소리조차도 일본어로 고처 공연하라는 압력이 닥쳐 온 것이다. 더 이상 견디는 것은 헛일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결국 단체를 해산하자는 합의를 하고, 선생은 진주로 낙향을 하게 되었다. 이 때가 해방 17일 전인 1945729일이었다.

 

감격의 해방을 맞았다. 819, 선생은 곧 바로 서울로 올라갔다. 그리고 민속음악인들의 대동단결체를 표방한 國樂建設本部창설에 중심 멤버로 참여하였다.

 

"오랫동안 민속음악을 천시해온 사람들의 그릇된 인식을 깨우침으로서 민속음악을 제 위치로 끌어올리기 위해 국악(國樂)’이라는 어휘를 최초로 사용하였던 것이다.”

 

이 같은 인식에서 단체명을 국악원(國樂院)’으로 고치게 되었다. 원장은 함화진, 선생은 부원장으로 취임했다. 이 단체를 중심으로 실질적이고 본격적인 국악 중흥운동을 전개하였다. 이 과정에서 활동 자금을 확보하게 되었는데, 그것은 마침 귀국한 재미한족연합회미주 대표단 김호(金乎/1884~1968)씨 등으로부터 후원금을 받은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힘을 얻어 다양한 연주자들과 행정인력을 확보하여, 미군정청 간부 56명을 초청하여 국악을 소개하는 특별공연을 준비하여 막을 올렸다. 이렇게 해방 직후 민속악 중심의 국악단체를 구성하고 주도적인 활동을 하게 되었다. 당연히 선생이 조직과 진행에 적극 앞장선 것이다.

 

5회분인 해방된 조국에서도 냉대 받아에서는 적극적으로 시민 대상 국악부흥운동을 전개하나 양악(洋樂)의 수입으로 입지가 축소되는 국악계의 처지와 이를 타개하려는 선생의 노력이 진술되었다. 그 첫 작업은 빚을 내서 최고의 공연장인 명동 시공관(市公館)에서 국극(國劇) ‘대춘향전선화공주를 공연한 것이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애초의 시민 대상 국악을 알리는데 목적을 둔 것이었다.

 

"비록 무거운 빚을 지었지만 우리는 무한히 기뻤다. 일반 대중이 국악을 외면하지 않는 한 국악의 장래는 어둡지 않다는 신념을 얻었기 때문이다. 암담하던 앞길에 서광이 비치는 것 같았고 국악인들의 파리한 얼굴에 생기가 감돌았다. 계속되는 공연 준비에 여러 날을 새워도 피로한 줄을 몰랐다.”

 

그러나 미군정의 세월이 길어짐에 따라 서양음악이 학교 교육과정에서는 물론 모든 공연 등에서 주객을 전도시켰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적극적인 운동으로 국악학교의 존재 필요성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국악을 이해하는 정부 고관들을 찾아다니며 호소해야 했다. 우선 서울시경 장택상(張澤相/1893~1969) 청장을 찾아가 논의하는 동시에 명월관(明月館)에서 국악감상회를 열어 기금을 마련하기로 하였다. 이 첫 감상회는 당시 서울시장 김형민, 경무부장 조병옥 같은 관료와 박흥식, 백낙승, 조준호 같은 갑부와 군정청의 미군 장교 등을 초청하여 김소희, 박귀희 선생의 판소리를 내세워 갈채와 후원 약속을 받아냈다.

 

명월관 감상회 성공을 계기로 큰 계획이 수립되었다. 國樂學校設立期成會결성이다. 크고 실직적이고, 당면 과제를 해결하는 다목적의 학교 설립 사업이다. 그러나 기대가 너무 컸던 것일까. 예상했던 제반 사항이 기대와는 미치지 못하였다. 기성회 중요 참여자 중에 이탈자가 생기게 되었고, 당초 약속한 기부금 액수도 크게 차이가 나는 등 의외의 난관이 이어졌다. 본격적인 국악중흥운동 열기가 크게 흔들리고 혼동을 겪게 된 것이다.

 

5 제10회 초중고교사 국악교육기념사진.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