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7 (수)

박대헌의 고서이야기 19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대헌의 고서이야기 19

내 마음의 책

  • 특집부
  • 등록 2021.01.13 07:30
  • 조회수 1,057


박대헌 고서점 호산방 주인, 완주 책박물관장

 

 

못 잊도록 생각이 나거든

 

이십오여 년 전 언론인 L씨로부터 시인 안서(岸曙) 김억(金億, 1896-?)이 쓴 엽서와 편지 이십여 통을 얻었다. 이 편지는, 평북 철산(鐵山) 출신으로 중국 상해와 봉천 등지에서 독립운동을 하다가 1936년 조선일보에 입사해 주필·부사장을 지낸 유봉영(劉鳳榮, 1897-1985)에게 보낸 것들이다. 안서는 고향 정주(定州)에서, 철산과 경성, 중국 봉천으로 옮겨 다닌 친구 유봉영에게 편지와 엽서를 보냈는데, 1919년 편지에는 안서용고(岸曙用稿)’라는 글자가 인쇄된 오백칠십육 자(24×24) 전용 원고지를 사용하고 있다.(*사진 42~43)

 

사진 42_43.jpg [사진 42~43] 김억이 친구 유봉영에게 보낸 편지. 그의 전용원고지에 쓴 편지에는 벗에게 전하는 진솔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또 다른 이백사십 자(12×20) 원고지에 쓴 1922323일 편지에는 소월(素月) 김정식(金廷湜, 1902-1934)못잊어를 연상케 하는 내용의 시가 적혀 있다.(*사진 44) 못잊어풍의 시가 들어 있는 안서의 편지는 모두 넉 장이다. 안서는 여기에 지금 무슨 생각을 하며 어떻게 살고 있다고 시시콜콜하게 적고 있다. 문제의 시는 안서가 친구에게 자신의 심각한 고민을 다음과 같이 토로하면서 소개됐다.

 

狂人? 泥醉? 戀愛熱中? 이 세 가지만이 現實世界의 모든 苦痛에서 自由롭게 하여 주는 듯합니다. 眞正告白을 하면 나는 그 동안 웃읍은 로맨쓰를 가젓읍니다. 그것은 아모것도 몰으는 十七歲所謂 生離別리와 놀앗읍니다. 한데 그것이 郭山一周에 갓득히 所聞이 낫읍니다. 하고 저 便에서는 共同生活하여, 참말로 ᄯᅡᆨ하엿읍니다. 만은 그것도 이제는 지내간 ᄭᅮᆷ되고 말앗습니다.

 

온갖 힘을 다하야 다른 곳으로 살님 가도록 하엿읍니다. 를 지엇읍니다. 그러나 엇지합닛가. 사람의 맘이란 물과도 갓고 바람과도 갓튼 것이매. 그것을 엇지합니가. 日前에 이러한 말을그말은 쓰지 안읍니다듯고 卽興으로 하나 지여주엇읍니다.

 

안서가 열일곱 살짜리 애인을 떠나 보내며 즉흥으로 지은 시에는 제목이 없다. 그 전문은 다음과 같다.


사진 44-0.jpg
[사진 44] 소월의 「못잊어」풍의 시가 실려 있는, 김억이 유봉영에게 보낸 편지 1922년 3월 23일자 편지. 이 시는 소월이 『개벽』에 발표할 때보다 두 달가량 앞섰고 시를 쓴 동기를 분명히 밝히고 있어, 「못잊어」의 원작자는 김억으로 보아야 한다. . 

못닛도록 사모차게 생각이 나거든,

야속하나마 그런데로 살으십시구려,

그려면 더러는 니저도 집니다.

 

못닛도록 살틀하게 그립어오거든

설으나마 세월만 가라고 합시구려,

그러면 더러는 니저도 집니다.

 

그러나 당신이 이럿케 말하겠지요,

"사모차게 생각나는 못니즐 당신을

그대로 생각을 안는다고 니저바리며,

살틀하게 그립어오는 못니즐 당신을

그런대로 세월을 보낸다고 닛겠읍닛가?”

  

소월은 이와 비슷한 시를 19235월에 발간된 개벽35호에 처음 발표했다. 발표 시기는 안서의 편지보다 두 달가량 늦다. 개벽에 발표된 시는 사욕절(思慾絶) I, 못닛도록 생각이 나겟지요라는 제목으로, 진달래ᄭᅩᆺ에 수록되기 전의 작품이다.(발표 당시 제목)

  

못닛도록 생각이 나겟지요,

그런대로 歲月만 가랍시구려.

 

그러면 더러는 닛치겟지요,

아수운대로 그러케 살읍시구려.

 

그러나 당신이 니르겟지요,

"그립어 살틀이도 못닛는 당신을

오래다고 생각인들 떠지오릿가?”

 

그리고 이는 다시 1925년 소월의 첫 시집 진달래꽃못니저(발표 당시 제목)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었다.

 

못니저 생각이 나겟지요,

그런대로 한세상 지내시구려,

사노라면 니칠날 잇스리다.

 

못니저 생각이 나겟지요,

그런대로 세월만 가라시구려,

못니저도 더러는 니치오리다.

 

그러나 또한긋 이럿치요,

"그립어 살틀히 못닛는데,

어찌면 생각이 떠지나요?”

  

안서의 편지에 실린 시와 개벽에 발표한 소월의 시 사욕절 I, 못잊도록 생각이 나겠지요그리고 진달래꽃에 수록한 못잊어는 시어와 리듬에서 차이가 날 뿐, 같은 시가 개작을 통해 변모한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리만큼 내용과 분위기가 비슷하다.

널리 알려진 대로 안서는 소월에게 특별한 스승이다. 안서는 평북 정주의 오산학교에서 소월의 시재(詩才)를 발굴해 키웠으며, 그를 문단에 데뷔시키고, 소월이 세상을 떠날 때까지 시 스승이 되어 주었다. 안서는 소월이 쓴 대부분의 시를 미리 받아 첨삭(添削정서(正書)한 다음 잡지사에 넘겼다. 이런 작업은 소월 사후에까지 이어져, 소월의 유고를 손질해 각종 잡지에 발표하고, 소월시초(1939), 소월민요집(1948)을 펴내기도 했다.

 

안서가 편지에 쓴 문제의 시는 소월이 개벽사욕절 I, 못잊도록 생각이 나겠지요를 발표했을 때보다 두 달가량 앞섰고 시를 쓴 동기가 분명한 만큼 원작자가 안서일 가능성이 크다. 이 같은 점은 안서의 또 다른 편지에 실린 시 사향(思鄕)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1919515일 경성에서 쓴 이 시는, 안서의 첫 시집이자 한국 최초의 근대시집인 해파리의 노래(1923)에 같은 제목으로 조금 변형되어 실려 있으며, 진달래꽃에 수록된 소월의 시 제비와 비슷하다. 사향의 첫 행 "공중(空中)에 나는 제비의 몸으로도제비의 첫 행 "하눌로 나라다니는 제비의 몸으로도는 거의 똑같다.(*사진 45)

소월의 대표작인 못잊어제비의 원형을 밝힐 수 있었다는 점 외에도, 안서의 편지들은 근대문학사와 관련해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사진 45.jpg
[사진 45] 김억이 1919년 5월 15일에 쓴 「사향」 원고. 이 시가 소월의 시 「제비」와 비슷하다는 사실을 통해 소월 시의 원형을 밝힐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