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60평생을 춤과 함께 산 타고난 춤꾼, 강선영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60평생을 춤과 함께 산 타고난 춤꾼, 강선영

중요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예능보유자(1988년 12월 지정)

  • 편집부
  • 등록 2021.01.11 02:38
  • 조회수 4,838

"도리깨질을 아십니까. 긴 자루를 뒤로 돌려 일단 멈췄다가 채에 힘을 주어 마음껏 내리쳐야 합니다. 처음 배울 적엔 건들거리는 도리깨 채에 자기 뒤통수를 얻어맞지만 익숙해지고 나면 그렇게 재미있고 힘이 날 수가 없어요.”


중요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기능 보유자(1988년 12월 지정)이며 1990년 2월에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회장으로 선출된 강선영(ㆍ67) 씨는 충남 천안군 수신면 한선 이씨 가문으로 시집 가 견뎌 냈던 시집살이 얘기부터 털어놓는다. 벙어리 3년, 귀머거리 3년, 장님 3년의 고춧가루보다 더 매운 시집살이는 아니었지만, 엄하고 조신해야 했던 3~4년의 기간이 평생 몸가짐을 흐트리지 않게 지켜 주었다고 한다.

강선영.jpg
강선영의 태평무는 스승 한성준 선생이 옛 왕조 시절 왕비가 추었을 것으로 생각하며 만들어 낸 춤이다

 

거창해 보이는 예총회장 자리도 잠시 맡아 있는 행정직일 뿐 그는 역시 뛰어난 춤꾼이었다.

"왕십리 당굿(경기 무악)에서 유래한 태평무 장단은 진쇠 가락으로 10박에서 36박자까지 들어갑니다. 춤을 추다 중간에서 한 박자만 삐끗해도 다시 따라잡기가 힘들어요. 그래서 태평무는 음악을 제대로 알아야 추고 생음악을 훨씬 선호하게 됩니다.”

이럴 때마다 강씨는 ‘좋았던 스승’ 한성준() 선생 생각이 간절하다고 했다. 승무, 살풀이, 태평무, 학춤(신선무), 한량무, 장군춤 등 온갖 전통 민속춤에 통달했던 한씨(충남 홍성 출신)는 당대 최고 명고수로 한 시절 민속악계를 주름잡았던 인물이다.

그 중에서도 태평무는 한씨의 창작무로 생전에 가장 아꼈던 춤이다. 옛 왕조 시절 왕비가 추었을 것으로 생각하며 만들어 낸 춤이 바로 태평무이다. 요염하면서도 우아하고 풀고 맺음이 분명하여 보는 이의 심사에 따라 감응의 폭은 다양해진다. 조선조 궁중 의상(부분적 변형 시도)으로 때로는 근엄하기까지 하여 태평무에 맛들여 놓으면 딴 춤은 싱겁게 여겨진다는 강씨의 말이다.

 

경기도 안성군 양성면 명목리가 고향인 강씨는 전통 예술과는 무관한 가문(진주 강씨)에서 태어났다(1925년 3월 30일생). 관가 벼슬을 하던 조부(敬秀)는 당대 한성준, 이동백(李東佰), 정정렬(丁貞烈) 명인들과 사랑채에 어울려 음풍농월하던 사이였다고. 다만 작은아버지(炳華)가 토월회 등 연극 단체를 조직, 전국을 유랑 생활하다 할아버지한테 매 맞고 아버지(炳學)는 계집애(강씨)를 신식 교육시킨다고 볼기까지 맞았다고 한다.

이런 가문에서 자란 강씨가 춤을 추겠다고 나서니 집안은 발칵 뒤집혔다. 결국 진노한 할아버지가 모녀를 내쫓아 버려 오히려 ‘춤꾼 인생’은 자유롭게 되었다고 회고한다.

"소학교 적 선생님의 말씀 한마디가 평생 진로를 결정해 버렸습니다. 학교에서 꾸민 ‘구식 어머니, 신식 어머니’ 연극에 출연하며 노래는 한 달 연습해도 안 되는데, 무용은 보기만해도 척척이었어요.”

지금 생각해도 어디서 ‘끼’를 받았는지 모르겠다고 한다. 구경 나온 어머니께 "선영이는 무용을 가르치는 게 좋겠어요.”라는 선생님의 한마디가 오늘날의 예총 회장까지 만들어 놓았다. 평택으로 쫓겨나온 어머니는 전세방에 하숙생을 치며 안성 고등보통학교에 다니던 강씨를 서울의 한성준 씨한테 보내 전통춤을 가르쳤다. 이 때가 열 세 살이었다.

서울 경운동에 있던 음악무용연구소에서 이강선(선배), 장홍심(張紅心), 한영숙(韓英淑, 한성준 씨 손녀, 승무 인간문화재, 1989년 작고) 씨와 함께 배웠다. 특히 이강선 씨의 춤은 선녀인지 나비인지 구분 못 할 정도였다고 지금까지도 찬탄한다.

20세까지 7년간을 배우면서 15세 때 이미 일본 공연에 나섰고 서울 부민 관(현 서울시 의사당)에서 첫무대까지 가졌다. 17세엔 동양극장에서 공연된 ‘삼국지’ 안무를 처음 맡아 주변의 시샘도 받아야 했다고.

신불출(申不出) 씨 등과 전국 공연을 다니며 8도는 물론, 일본ㆍ만주 지역 까지 좁다 하고 뛰어다녔다. 강씨의 이러한 역마살은 일제 정신대를 피해 천안 형부 집에 피신 갔다 시집 가면서 잠재워진다. 절구에 겉보리 찧으면서도 춤을 잊지 못해 몸부림쳐야 했고 물두멍에 물을 져 나르면서도 어찌하면 춤을 다시 추느냐가 일구월심이었다고 한다.

"6ㆍ25를 대전ㆍ부산 등지에서 겪다가 9ㆍ28 수복 후 서울에 와 무조건 무용 학원을 차렸습니다. 시어머니의 졸도, 남편의 구타 등 고비도 많았지만 ‘옳다는 일’에의 ‘강씨 고집’도 막을 순 없었지요.”

김보애(金寶愛), 이현자(李賢子) 씨가 무용을 배우기 시작한 게 이 무렵. 지금까지 ‘강선영 무용연구소’를 통해 배출된 후학들은 많지만 그의 제자들에 대한 선별안은 매우 까다롭다.

결혼 후 춤을 작파해 버릴 사람한테는 아예 가르치지를 않는다. 그래서 그의 제자들인 이현자ㆍ이명자(李明子)ㆍ김근희(金槿姬) 씨 등 이수자, 채상묵(蔡相默)ㆍ심가영(沈佳英)ㆍ가희(佳姬) 형제 등의 수제자, 양성옥ㆍ김나영 씨 등 장학 이수자와 일반 이수자인 고선자ㆍ최윤정ㆍ김경희ㆍ이춘자 씨 등의 각오는 대단하다.

1960년 4월 프랑스 등 유럽 일주 공연 이래 강선영 무용단이 가진 해외 공연은 수십 회가 넘는다. 아시아 지역은 물론 북ㆍ남미, 중동, 동구권, 아프리카 지역까지 그의 춤 구경을 못 한 나라가 드물 정도.

일본 오사카(1963년), 도쿄(1966년) 등에 무용 연구소 분교를 개설하며 순수 민간 외교 차원에서 기여한 공로도 적지 않다. 강씨의 이런 행적은 서울시문화상(1965년), 제12회 아시아무용제 작품상(초혼, 1965년), 국민훈장 목련장(1973년), 대한민국문화예술상 연예부문(1976년) 수상으로 요약된다.

"처녀 적 별명이 ‘모르쇠’였습니다. 남의 얘길 묻거나 시비 걸릴 얘기에 대해선 무조건 모른다고 대답한대서 붙여진 이름이지요. 예술에 대한 이해가 다양한 만큼 말도 많은 곳이 예술계입니다.”

무용 연구생 시절 어느 치대생과의 손 한 번 잡아 보지 못한 애틋한 사랑 이야기 등은 지금도 아쉽다면서 홍조를 띤다. 까치발로 딛는 태평무 춤사위가 마치 스페인 전통 무용과도 흡사해 그들도 열광하더라는 강회장은 "아직도 국내에선 태평무가 뭔지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며 아쉬워했다.

• 강선영 태평무 계보

강선영1.jpg

 

 

출처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전통 예인 백사람, 초판 1995., 4쇄 2006., 이규원, 정범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