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아리랑칼럼] (11) ‘박진주’의 아리랑 사연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리랑칼럼] (11)
‘박진주’의 아리랑 사연

기찬숙/아리랑학회 이사

  • 특집부
  • 등록 2020.11.14 07:30
  • 조회수 113,905

1941년 미국에서 동서협회를 조직하여 님 웨일즈의 아리랑을 출판하는데 도움을 주고 "한국을 알자2500만의 잊힌 친구라는 주제의 강연회도 열었다. 그리고 이 행사에서 아리랑을 불렀다. 한국인들의 독립운동 실상과 아리랑이란 노래의 가치를 이미 알고 있는 그 여인의 이름은 펄 사이든스트리커 벅(Pearl Sydenstricker Buck), 중국어 이름 싸이전주(賽珍珠)이다.


peal.jpg
노벨문학 수상자 펄벅 여사(Pearl S. Buck) (1892~1973)

 

1930년 중국에서 동·서양 문명의 갈등을 다룬 소설 동풍서풍을 발행하고, 1931년 빈농부터 대 지주가 된 인물을 그린 작품 대지를 출판하였다. 1938년 미국의 여성 작가로서는 처음으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그리고 이 여인은 해방을 맞은 한국을 찾아왔고, 이어서 1968년 까지 10차례나 방문했다. 한국전쟁 발발 해인 1950년에는 한국에서 온 두 처녀라는 작품을, 1963년에는 갈대는 바람에 흔들려도라는 작품을, 1968년에는 새해라는 작품을 발표했다

 

이 해에 서울시가 이 여인에게 명예 서울시민증을 수여했다. 이 때 스스로의 한국어 이름을 제시했다. 바로 박진주(朴珍珠)이다. ‘Pearl’의 번역이 이름 진주, ‘Buck’이 성씨 이 되었다. 이 여인을 우리는 펄벅 여사라고 불러 온다.

 

1892년 미국에서 태어나 선교사인 부친을 따라 중국으로 이주하여 40여 년을 살았다. 이 때의 중국 체험을 소설화한 작품이 대지이다. 이 작품으로 1938년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1960년대 중반부터는 한국 부천에서 10여년을 살기도 했다. 이때 양반가 3대의 삶을 그린 장편소설 갈대는 바람에 흔들려도를 썼다. 그리고 197380세로 생을 마쳤다. 펄벅여사는 마지막 생을 산 한국을 중국보다 더 사랑했다.

 

그 사랑의 증거는 "한국은 고상한 국민이 살고 있는 보석 같은 나라라는 헌사와 그 책 표지에 아리랑 대표사설과 후렴을 한글 반 궁체(宮體)로 담아 표현한 것이다. 1963년 영문학자 장왕록(張旺祿)의 번역으로 동시 발간되었다. 미국에서 베스트셀러가 되어 "한국 외교관 100명보다 더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은 책이다. 그렇다면 이 책의 표지화로 담긴 아리랑에는 어떤 사연이 담겨있을까? 1960년 가을 어느 날의 당시 국빈 예우로 공보처의 안내로 경주를 거쳐 안동 양반가를 취재하러 가고 있었다. 저녁 노을이 붉게 물든 무렵 안동을 들어서는 도로에서 소 달구지를 끌고 가는 농부와 조우하게 되었다.

 

펄벅은 비포장의 차 먼지를 일지 않게 하기 위해 천천히 몰게 했다. 그리고 달구지의 속도로 가며 내다보았다. 소 고삐를 잡은 노인은 지게를 진채였고, 지게 위에는 볏집 한단과 잡동산이들이 담겨있었다. 빈 달구지이니 그 지게를  싣고 자신도 타고 갈만한데도 짐을 지고 가는 것이었다.

 

화면 캡처 2021-02-16 171342.jpg
펄벅 (Pearl S. Buck)의 ‘The Living Reed’, (뉴욕)죤데이 출판사. 1963.

 

peal0.JPG
Pearl S. Buck(1892~1973)의 친필 사인이 있는 ‘The Living Reed’의 첫장

 

하루 종일 밭에서 일을 하고 가는 소를 배려한 것이구나!’

 

제 짐을 지고 소와 함께 가는 평화로운 모습에 감동을 받았다. 그런데 그 순간이었다. 농부는 소에게 들려 주는듯한 나직한 노래를 부르며 가는 것이아닌가.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고개로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난다바로 아리랑이었다.

 

펄벅은 이 때의 감동을 당시 한국예술원의 한 원로 시인에게 전했다. "일시 말라 흔들리지만 한파를 견뎌내고 봄이 되면 되살아나는 갈대처럼 한국인들은 시련을 딛고 일어날 것이다. 이런 한국인들이 부르는 노래가 아리랑임을 알고 있다 취재 후기를 남겨 전해 오는 사연이다.

 

며칠 전 한 신문에 펄벅 여사의 친필 서명본이 발굴되었다는 기사를 접했다. 표지와 서명을 보고 문득 여사의 아리랑 사연을 떠 올렸다. 어쩌면 여사는 어떤 이에게 이 책 하얀 내지에 서명을 하며 아리랑 사연을 전해주지 않았을까?

 

활달하면서도 정겨운 박진주 여사의 필체에서 ~~랑 아~~~’만년필 사각이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